매일신문

정부 "내년 코로나 치료제·백신 개발에 2천억 투입"

정부 내년 R&D 예산 27조2천억 편성 뉴딜·소부장 집중

지난 29일 오전 대전 유성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본원에서 연구원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정대균 감염병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이 코로나19 단백질 백신 정제도를 확인하기 위해 염료를 넣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29일 오전 대전 유성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본원에서 연구원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정대균 감염병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이 코로나19 단백질 백신 정제도를 확인하기 위해 염료를 넣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백신 개발 등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2천억원을 배정하는 등 내년도 연구개발(R&D) 예산을 올해 보다 12.3% 증액한 27조2천억원으로 편성했다. R&D 예산 증가율은 올해 18.0%에 이어 2년 연속 두자릿수를 유지했다.

4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먼저 코로나19 대응에 2천억원을 투입해 치료제·백신 개발 투자를 강화하고, 생물안전연구시설 증설 등 감염병 연구를 위한 인프라 구축을 지원한다.

구체적으론 치료제 임상지원에 10개 후보물질 627억원, 백신 임상지원 12개 후보물질 687억원 등이다.

또 한국판 뉴딜, 감염병, 소재부품장비(소부장), BIG3, 기초 원천R&D, 인재양성의 6개 분야에 13.2조원을 투자한다. '선택과 집중'을 위해 이들 분야에 주요 R&D 예산의 70%
수준을 집중하고, 올해에 비해 20.1% 확대 편성했다.

한국판 뉴딜에는 1조9천억원을 투자한다. 디지털 뉴딜 분야에 1조1천억원을 편성해 인공지능, 5G 등 디지털 핵심기술 확보, 비대면 산업 기술개발, SOC 디지털화에 나선다. 차세대 인공지능 원천기술개발에 347억원, 6G 핵심기술개발에 172억원을 신규 배정했다.

그린 뉴딜 분야에선 8천억원을 투입해 녹색도시 인프라 구축, 신재생 에너지 고효율화, 유망 녹색산업 육성 등을 지원한다. 저탄소고효율 건축기술 개발 115억, 상하수도 혁신기술 개발 305억 등이 포함됐다.

소부장에는 2조2천억원을 투자, 일본에 의존해온 100대 품목을 전세계 338개로 확대·관리한다.

바이오헬스, 미래차, 시스템반도체 등 이른바 BIG3에는 2.3조원을 지원한다. 먼저 바이오헬스에 1조7천억원을 투입, 신약·의료기기 전(全)주기 지원을 위해 부처 협업을 진행하고 인력양성, 규제과학 투자를 강화하기로 했다.

미래차 개발을 위해선 4천만원을 배정해 2027년을 목표로 완전자율차(LV4) 상용화에 나선다. 시스템반도체는 3천억원의 유망분야에서 원천기술 확보와 함께 제품화까지 지원하고 고급 인력확보를 위한 투자를 강화한다.

이와 함께 미래과학기술 역량강화를 위해 기초R&D에는 7조3천억원 투자할 계획이다.

자유공모 방식의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를 확대하고, 기초과학연구원 운영 등 세계적 수준의 기초연구 환경을 조성한다는 의지다.

신기술 분야 핵심 고급인재 양성을 위해선 3천억원의 예산으로 AI·SW 등 ICT 분야 세계 최고 수준의 전문가를 양성하는 한편 스마트공장, 조선 등 산업별 특화 인재를 육성하기로 했다.

정부는 또 큰 폭으로 증가한 R&D 예산의 효율화 노력도 계속 추진해 다부처 공동 융합 R&D에 대한 지원을 1조8천억원으로 확대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