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과 후 강사들이 '희망고문'에 시달리고 있다. 어렵사리 열린 2학기 수업이 코로나19 탓에 미뤄지고 있어서다.
8일 대구시교육청에 따르면 대구 지역 초·중·고교 중 1학기 방과 후 수업을 운영한 학교는 449개교 중 145개교다. 그나마 코로나19로 4개월간 중단됐던 방과 후 교실이 6월부터 가까스로 열린 것이었다.
2학기가 시작됐지만 방과 후 강사들의 한숨은 그치지 않는다. 재확산하는 코로나19로 방과 후 수업 개강이 연기되고 있어서다.
대구 북구의 한 초등학교에서 독서·토론을 가르치는 방과 후 교사 A(36) 씨는 "이달 14일에 개강하기로 한 수업이 코로나19 때문에 20일 이후로 연기됐다"며 "정확히 언제 개강한다는 언질을 듣지 못해 희망고문을 당하는 기분"이라고 했다.
2학기 수업 일정이 불확실해지면서 생계에 위협을 받는 이들도 있다. 반 년 넘게 일을 하지 못하다 보니 단기 아르바이트라도 해야 생계를 이어갈 수 있다는 것이다.
대구 수성구의 한 초등학교에서 주산·암산을 가르치는 방과 후 교사 B(56) 씨는 "수업이 언제 다시 열릴지 모르니 섣불리 이직을 결정하기도 어렵다"며 "원래 수업시간이었던 낮 시간을 피해 야간에 대리운전을 하고 있다"고 했다.
교육당국의 지원책도 단기간에 끝나버렸다. 시교육청은 지난 6월 방과 후 강사 2천450여 명을 '학교 감염예방 안전도우미'로 채용, 경제적 해갈에 도움을 주려 했지만 효과는 오래 가지 못했다. 두 달짜리 고용에 그친 탓이다.
김진희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방과후강사노조 대구지부장은 "당장 수입이 없는 방과 후 강사들의 생계를 보전하는 대책이 많지 않다"고 했다.
대구시교육청 관계자는 "지난달 대구 지역 학교에 되도록 방과 후 수업을 열어달라는 공문을 보냈다. 학생 한 명의 수요가 있더라도 방과 후 수업을 진행하도록 학교 측의 협조를 요청하고 있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