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가 반등 하루 만에 다시 하락했다.
10일(현지 시각) 뉴욕증시가 미국 실업 지표 부진으로 하락 마감했다. 이날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405.89포인트(1.45%) 하락한 2만7534.58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59.77포인트(1.76%) 내린 3339.19에 마감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21.97포인트(1.99%) 하락한 1만919.59을 기록했다. 이날 오전 상승 출발한 나스닥지수는 한때 1.4%까지 올랐으나 오후 들어 급격하게 하락하며 여전히 기술주들이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대형 기술주를 대표하는 애플과 아마존, MS(마이크로소프트) 주가는 각각 3% 가량 떨어졌다.
애플의 주가는 장 초반 2.7% 상승했지만 장 후반 3.3% 하락 마감했다. 테슬라도 9% 가까이 올랐다가 상승폭이 줄어 1.4% 상승 마감했다.
한편 GM과의 계약을 전날까지 주가가 급등했던 니콜라는 이날 10% 넘게 폭락했다. 니콜라의 주식을 공매도하고 있는 힌덴버그 리서치가 보고서를 통해 니콜라가 수소·전기트럭 자체 기술을 속였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이날 뉴욕 증시가 하락한 것은 미국 실업 지표가 부진한 성적을 내면서 투자심리가 위축된 영향으로 보인다.
미 노동부는 지난주 실업보험 청구자 수가 전주와 비슷한 수준인 88만4천명(계절 조정치)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예상치 85만명을 상회하는 수준이다.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봉쇄 정책 이후 지난 3월말 정점인 687만명을 기록한 이후 감소세를 이어왔었다.
블룸버그통신은 "일자리가 광범위하게 계속 사라지고 있다는 뜻"이라고 보도했고, 미국 경제방송 CNBC는 올 가을 코로나19가 재확산할 경우 실업자 수가 다시 늘어날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우려를 전했다.
다만 여전히 기술주를 중심으로 한 증시 낙관론도 팽배하다. 막대한 대기자금이 주식 매수시기를 저울질하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이 자금이 주가를 계속해서 밀어올릴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의견도 나온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