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코로나 시대의 추석, 상여금도 '역대 최저'…얼마 줄었나

상여금 평균 지급액 58만6천원…지난해보다 평균 6만1000원 줄어
'사람인' 설문조사 시작한 2012년 이후 최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추석 성수기(17~30일) 농산물 출하량이 감소할 전망이다. 장마와 태풍으로 인해 농축산물 수급 여건이 악화돼 장바구니 물가 부담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은 13일 서울 가락시장에서 장을 보는 시민. 연합뉴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추석 성수기(17~30일) 농산물 출하량이 감소할 전망이다. 장마와 태풍으로 인해 농축산물 수급 여건이 악화돼 장바구니 물가 부담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은 13일 서울 가락시장에서 장을 보는 시민. 연합뉴스

기업들이 임직원들에 지급하는 추석 상여금이 2012년 이후 가장 적은 수준을 기록할 것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이 그만큼 많은 것으로 풀이된다.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은 14일 기업 1천140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올해 추석 상여금을 준다는 기업이 전체의 51.3%에 불과, 평균 지급액은 58만6천원이라고 밝혔다.

이번 상여금 조사 결과는 지난해(64만7천원)보다 6만1천원 줄어든 것으로 사람인이 2012년 조사를 시작한 이래 처음으로 60만원을 밑돋 수치다.

기업 규모 별로는 대기업이 92만원, 중견기업 68만원, 중소기업 51만원 순으로 집계됐다. 추석 선물을 주는 기업은 전체 기업 중 71.7%로 나타났다. 선물 종류는 햄, 참치 등 가공식품(49.6%·복수응답)이 가장 많았다.

기업들은 상여금을 지급하는 이유로 '어려운 시기에 직원들의 사기를 높이기 위해서'(44.3%·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꼽았다. 다음으로 '정기 상여금으로 규정돼 있어서'(35.2%), '직원들의 애사심을 높이기 위해서'(24.4%), '추석비용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서'(18.3%) 등이었다.

반면, 상여금을 지급하지 않는 기업들(555개사)은 '코로나19 사태로 경영 위기 상황이어서'(33.9%·복수응답), '선물 등으로 대체하고 있어서'(30.6%), '명절 상여금 지급 규정이 없어서'(27.6%), '상황이 안 좋아 지급 여력이 없어서'(23.2%) 등을 이유로 들었다. 올해 상여금 지급 계획이 없는 기업의 26.5%는 지난 해 상여금을 지급했다고 답했다. 코로나19에 따른 경영난으로 상여금을 주지 못하는 기업도 상당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올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고려해 직원들의 귀성길을 제한하는지에 대해서는 기업의 59.4%가 '권고 수준으로 제한한다'고 밝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