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구미,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 급물살

이번 주민지원방안 실무 논의…보호구역 '상생 기금' 조성 협의
구미 5공단 활성화 등 지역 현안 풀 수 있는 해법도
"이달 안에 취수원 문제 해결하도록 논의 진행"

지난 10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구미시 취수원 문제와 관련해 이철우(왼쪽부터) 경북도지사와 조명래 환경부장관, 장세용 구미시장, 권영진 대구시장 등이 비공개 간담회를 가진 뒤 손을 잡으며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매일신문 DB
지난 10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구미시 취수원 문제와 관련해 이철우(왼쪽부터) 경북도지사와 조명래 환경부장관, 장세용 구미시장, 권영진 대구시장 등이 비공개 간담회를 가진 뒤 손을 잡으며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매일신문 DB

대구 취수원을 '구미 해평취수장'으로 다변화하는 논의가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주 환경부와 해당 지방자치단체장들이 함께 회동한 데 이어 이르면 이번 주에 주민지원방안 등에 대한 실무 차원의 논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특히 대구와 구미 간 협의가 순조로우면 이달 안에 합의점을 찾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대구시는 구미 해평취수장을 공동 이용하는 방안을 두고 이번 주 구미시와 실무 차원의 논의를 진행해 이달 안에 취수원 문제를 해결할 방침이라고 14일 밝혔다. 이는 지난 10일 열린 환경부 장관과 대구시장, 경북도지사, 구미시장 등의 간담회 이후 후속 조치다. 이 자리에서 장관과 지자체장들은 오랜 시간 이어온 낙동강 물 문제를 해결하자는 데 뜻을 같이했다.

실무 논의의 핵심은 지역 주민 지원방안이다. 우선 대구시가 지난달 3일 제안한 '상생 기금'의 조성 규모와 활용 방안에 대한 합의가 이뤄져야 한다. 기금은 주로 해평면 등 상수원 보호구역 내 지역 주민들이 체감할 만한 지원사업을 추진하는 데 쓰일 것으로 보인다. 추가 보호구역 지정 없이 현재 상태를 유지하면서, 1985년 이후 35년간 재산권 행사에 발이 묶인 주민들을 달랜다는 취지다.

아울러 구미 전체 시민이 만족할 만한 지원책도 찾아야 한다. 취수원 공동이용에 부정적인 지역사회 여론 때문이다. 이를 위해 대구시와 구미시는 물론 경북도까지 포함해 새로운 협력사업(국책사업)을 발굴해야 한다. 특히 구미 5공단 활성화와 KTX 역사 신설 등 구미의 현안 사업을 풀 수 있는 해법 마련에 함께 머리를 맞대야 하는 것이다.

관련 법령 개정을 통한 상·하류 협력사업과 수계기금 활용 등 정부 차원의 지원도 수반돼야 한다. 아울러 그동안 쟁점이 돼온 재산권 침해와 수량 부족, 수질 악화 등에 대한 주민 설득도 필요하다.

대구시 관계자는 "지난주 지자체장 회동을 통해 취수원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큰 틀의 공감대를 이루었다"며 "앞으로 실무 회의가 어느 정도 진척되면 이를 바탕으로 환경부 장관과 지자체장들이 다시 모이는 연석회의를 여는 등 이달 안에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것"이라고 밝혔다.

해평취수장
해평취수장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