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가 코로나19 경제 위기 대응을 위해 올 한 해에만 네 차례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을 편성하면서 미래 세대가 짊어질 나랏빚 부담은 더욱 심각해졌다.
이미 국가채무 증가속도가 전례없는 수준으로 빠르게 늘어나고 있는 데다 앞으로도 상당 기간 더 악화할 것으로 예상돼 재정건전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14일 정부에 따르면 정부가 편성한 7조8천억원 규모의 4차 추경안 중 사실상 거의 대부분 재원을 적자국채 발행으로 조달해 나랏빚은 7조5천억원 더 상승한다.
이를 반영하면 올해 국가채무는 역대 최대인 846조9천억원, 내년 952조5천억원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정부는 앞서 올해 세 차례 추경을 하면서 이미 36조8천억원의 적자국채를 발행했다.
올해 본예산 편성 기준 805조2천억원이었던 국가채무는 1차 추경 후 815조5천억원, 2차 추경 후 819조원, 3차 추경 후 839조4천억원까지 치솟았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비율 역시 본예산 때 39.8%에서 1차 추경 41.2%, 2차 41.4%, 3차 43.5%, 4차에서는 43.9%로 빠르게 올랐다.
암묵적인 마지노선으로 여겨졌던 40%를 1차 추경 때 진작 넘어선 데 이어 40%대 중반 턱밑까지 상승한 것이다.
현재 국가채무비율에는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지출, 통일비용 등이 반영돼 있지 않아 이를 고려하면 더 크게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재정악화 속도가 너무 빠르다는 점이 문제다.
내년 국가채무는 애초 전망인 945조원에서 952조5천억원으로 크게 오르고, 국가채무비율은 47.1%로 상승해 50%를 앞둔다.
2022년에는 50.9%로 50%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며, 2024년에는 58.3%로 60%까지 육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획재정부 차관과 국무조정실장을 지낸 경제관료 출신 추경호 국민의힘 국회의원(대구 달성)은 "노무현 정부,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 세 정부 기간의 국가채무비율 증가폭을 모두 합친 수준보다 빠른 증가 속도"라며 "굉장히 심각하고 위험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