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1%대 신용대출 금리 사라진다…은행권 총량 조절

은행권, 우대금리·한도 축소 검토

국내 주요 은행이 개인에게 내준 신용대출 잔액이 8월 한 달 새 4조원이나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2일 오후 명동 하나은행 본점 앞. 연합뉴스
국내 주요 은행이 개인에게 내준 신용대출 잔액이 8월 한 달 새 4조원이나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2일 오후 명동 하나은행 본점 앞. 연합뉴스

역대 최대를 기록한 신용대출이 잠대적 금융 위험 요소로 지목되자 은행권이 대출을 자제할 방침이다.

우대금리 폭을 줄여 전체 신용대출 금리 수준을 높이고, 최고 200%에 이르던 일부 전문직의 연 소득 대비 신용대출 한도도 줄이는 대출 총량과 속도 조절에 나선 것이다.

은행권에 따르면 자율적 신용대출 관리방안으로 우선 우대금리 하향조정이 검토되고 있다.

각 은행에서 최저 금리로 돈을 빌리려면 우대금리(금리할인) 혜택을 최대한 받아야 하는데, 우대금리는 해당 은행 계좌나 계열 카드 이용 실적, 금융상품 가입 유무 등 여러 부가 조건에 따라 부여된다.

이에 1%대 신용대출 금리가 사라질 수 있다. 지난 10일 기준 5대 시중은행의 신용대출 금리는 1.85∼3.75%(각 은행 신용대출 대표상품 기준) 수준이다. 한 시중은행은 이미 우대금리 할인 폭을 0.2%포인트 줄였다.

결국 이 깎아주는 우대금리 폭을 줄여 신용대출 금리 수준을 지금보다 높이면 대출 증가 속도를 어느 정도 늦출 수 있다는 게 은행권의 설명이다.

특수직(의사·변호사 등 전문직 포함) 등에 대한 신용대출 한도도 낮출 전망이다.

은행권의 신용대출은 보통 연 소득의 100∼150% 범위에서 이뤄지지만, 특수직 등은 현재 은행에서 많게는 연 소득의 200%까지 빌리는 경우도 적지 않다는 게 은행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연봉이 1억5천만원이라면, 담보 없이 신용대출로만 끌어 쓸 수 있는 돈이 3억원에 이른다는 얘기다. 2, 3억에 이르는 신용대출은 '투자 수요'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감독원도 지난 14일 시중은행 부은행장(여신담당 그룹장급)들과의 화상회의에서 "최고 200%에 이르는 신용대출 소득 대비 한도가 너무 많은 것 아니냐"는 의견을 전달할 것으로 알려졌다.

은행권은 이를 서민의 생활자금 성격의 신용대출까지 조일 수 없으니 낮은 금리로 수억원씩 빌리는 전문직의 신용대출부터 줄이라는 신호로 해석하고 있는 것이다.

은행의 수익성 측면에서도 신용대출 금리 인상과 한도 축소는 동시에 실행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은행권의 시각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