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영주댐 물 방류 여부 두고 지역민들 반발

영주댐 수호추진위원회, 수자원공사 영주댐지사 항의 방문

영주댐 수호추진위원회 회원들이 수자원공사 영주댐지사를 방문, 댐 방류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마경대 기자
영주댐 수호추진위원회 회원들이 수자원공사 영주댐지사를 방문, 댐 방류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마경대 기자

환경단체와 대학교수 등이 참여한 영주댐 협의체(환경부에서 구성한 독립기구·이하 댐 협의체)의 댐 방류 결정을 앞두고 주민들로 구성된 영주댐 수호추진위원회(위원장 강성국·이하 수호위원회)가 댐 방류에 반대하고 나서 마찰이 예상된다.

수호위원회는 지난 14일 한국수자원공사 영주댐지사를 방문해 "방류를 하면 다시 담수천으로 돌아간다. 1조 1천억원이나 들여 조성한 댐을 실개천으로 되돌리는 것은 말도 안된다. 수몰민들은 논밭을 수장하고 이주단지에 산다"며 방류 중단을 강력하게 촉구했다.

녹조 등의 문제로 댐 준공 4년만에 담수를 시작한 영주댐에 물이 가득 들어차 있다. 현재 저수량은 57%이다. 마경대 기자
녹조 등의 문제로 댐 준공 4년만에 담수를 시작한 영주댐에 물이 가득 들어차 있다. 현재 저수량은 57%이다. 마경대 기자

영주댐 방류 문제가 수면 위로 올라온 것은 지난 1월 구성된 댐 협의체의 설치 이유 때문이다. 환경부는 댐 철거 등을 요구하는 환경단체 주장을 받아들여 댐에 물을 담수한 뒤 댐 안전성과 녹조 문제 등을 검증한 뒤 그 데이터를 활용, 철거와 존속 문제를 결론짓기로 했다. 댐 협의체는 주민대표, 교수, 환경단체, 관련 기관, 수자원공사 관계자 등 18명으로 구성됐다. 댐 협의체는 지난 10일 대구에서 5차 회의를 갖고 발전설비 부하시험검사(발전기 성능 검증)가 완료된 영주댐 방류 시기, 방법을 오는 21일 결정하기로 했다.

하지만 영주댐담수회, 영주상공회의소 등 지역 14개 사회단체로 결성된 수호위원회는 어떠한 경우에도 영주댐 방류, 댐 철거를 막겠다는 입장이다. 강성국 위원장은 "방류는 댐 협의체에서 일방적으로 결정할 사항이 아니라 영주시민들이 결정할 사항"며 "앞으로 범시민 서명운동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영주댐 지키기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한국수자원공사 영주댐지사 관계자는 "주민들의 뜻은 이해하나 댐 방류와 관련한 문제는 댐 협의체가 결정할 사항"이라며 "영주시민들의 의견을 상부에 전달하겠다"고 답했다.

녹조 등의 문제로 준공 4년만에 담수를 시작한 영주댐에 물이 가득 들어차 있다. 현재 저수량은 57%이다. 마경대 기자
녹조 등의 문제로 준공 4년만에 담수를 시작한 영주댐에 물이 가득 들어차 있다. 현재 저수량은 57%이다. 마경대 기자

한편 영주댐은 지난해 9월부터 담수를 시작했으며, 녹조 문제와 안전성 검토 등을 시설안전공단 등이 용역을 맡아 진행 중이다. 저수량은 57% 수준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