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코로나 확산 막으려면 추석 귀성과 대규모 집회 자제해야

추석 연휴 때 인구 이동을 억제해 코로나19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3년만에 고속도로 통행료가 유료 전환된다. 사진은 차량들이 정체돼 있는 고속도로 모습. 연합뉴스.
추석 연휴 때 인구 이동을 억제해 코로나19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3년만에 고속도로 통행료가 유료 전환된다. 사진은 차량들이 정체돼 있는 고속도로 모습. 연합뉴스.

한 달 넘게 세 자릿수 확진자가 이어지는 가운데 추석 연휴 귀성과 개천절 집회가 코로나 방역에 큰 걸림돌이 될 전망이다. 명절 대이동과 대규모 군중집회가 코로나 확산의 기폭제가 될 가능성이 높은 탓이다. 이에 정부는 2017년부터 시행해 온 명절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 조치를 올 추석에는 적용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귀성·성묘객 증가로 인한 코로나 감염 확산을 조금이라도 줄이겠다는 취지다.

정부의 이런 방침과 이동 자제 권고 때문인지 시민들도 올 추석만큼은 이동을 최소화하고 연휴를 집에서 보내겠다는 공감대가 커지는 분위기다. 직접 벌초에 나서는 대신 벌초 대행업체에 맡기는 사례가 늘고 있고, 일부 공원묘지의 경우 성묘를 자제해 달라는 문자메시지를 유족에게 보내며 감염 차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의성군은 추석을 앞두고 홀몸노인들의 안부 영상을 촬영해 객지 자녀에게 보내는 등 아이디어를 짜내고 있다.

국가 전체가 곤란한 상황에 처했을 때 명절 차례를 지내지 않는 등 비상한 결단은 비단 현대에만 국한된 문제는 아니다. 그제 한국국학진흥원이 공개한 '하와일록' '초간일기' 등 조선시대 여러 고문헌에도 역병 때문에 부득이 명절 차례를 포기하는 사례가 많이 확인된다. 천연두 역병이 돌자 마을 사람들이 차례를 지내지 않기로 결정하거나 각 집안마다 차례를 건너뛰는 경우가 많았는데 현 코로나 상황에서도 주목할 대목이다.

귀성 문제도 그렇지만 일부 단체가 추진 중인 개천절 집회 또한 큰 걱정거리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16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광복절 집회와 같은 집단 감염의 불상사가 재발하지 않도록 개천절 집회를 제한하는 게 마땅하다"며 "만약 집회를 강행한다면 법과 원칙에 따라 단호히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어려운 때일수록 나 자신, 내 가족이 아니라 주위 여론에 귀를 기울이고 정부 방침에 자발적으로 협조하는 게 바른 자세다. 이런 성숙한 시민의식만이 코로나 위기를 극복하는 길이기 때문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