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민이 北 총격에 죽어도…與 "어떻게 할 수 없다"

"NLL 북한 수역서 일어난 일" "北 사과하면 관계 좋아질 수도"
여, 국방부 소극적 대응 두둔…야, "국민상식으로 이해 못 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서해 소연평도 해상에서 실종된 공무원이 북한에서 총격 살해된 사건과 관련해 우리 측에 공식 사과한 25일 연평도 NLL 인근에서 중국 어선이 조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서해 소연평도 해상에서 실종된 공무원이 북한에서 총격 살해된 사건과 관련해 우리 측에 공식 사과한 25일 연평도 NLL 인근에서 중국 어선이 조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해 연평도 해상에서 실종된 공무원이 북한군 총격에 숨지는 충격적 사건이 벌어졌지만 여권에서 "북쪽에서 일어난 일이라 어떻게 할 수 없다"거나 "북쪽이 사과하면 남북관계 좋아질 수도 있어"와 같은 발언을 내놓고 있다. 야권에서는 "국민상식에서 도저히 이해할 수가 없는 발언"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국회 국방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간사를 맡은 황희 의원은 이날 한 라디오 방송 인터뷰에서 국방부의 늑장 대응 논란에 대해 "일이 이렇게 될 거라고 전혀 예상을 못 했던 것 같다. 폐쇄회로(CC)TV 보듯이 내내 지켜 보고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고 군을 두둔했다.

국회 국방위원장인 민홍철 민주당 의원도 라디오에서 "NLL(북방한계선) 이북의 북한 수역에서 일어난 일이다. 확실한 사실을 확증하기까지 굉장히 어렵고 미군과 협력도 해야 해서 (구출에 나서지 못한 채) 시간이 걸린 것 같다"며 국방부를 옹호했다.

심지어 5선의 중진인 설훈 민주당 의원도 라디오 방송에서 "북쪽이 사과하고 '우리가 상황을 잘 몰랐다, 죄송하다' 이렇게 나오면 의외로 남북관계가 좋아질 소지도 생긴다고 본다"고 주장했다.

설 의원은 국군 대응이 미흡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에 "NLL 밖에 있는 상황인데 어떻게 할 수 있는 일이 있느냐"며 "그러면 같이 대응을 해서 소총사격을 하겠나, 포를 쏘겠나. 그럴 수 있는 것은 전혀 아니어서 지켜만 보고 있었다고 하는데 내용 그대로 그럴 수 있다"고 두둔했다.

이어 "물론 경고방송을 해서 우리 국민을 돌려보내라고 이렇게 할 수 있는데 그것도 바로 대북 첩보자산이 드러나는 상황"이라며 "군으로서는 그렇게 쉽게 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고 했다.

그러자 같은 방송에 출연한 홍문표 국민의힘 의원은 "북한이 사과를 하면 그것도 새로운 모멘텀이 형성되겠으나, 사과한다고 역전될 수는 없다"며 "사람이 죽었고, 대한민국 국민이 이런 수모와 수치를 당했는데 이것이 사과 한 마디로 해결될 수는 없다"고 비판했다.

3선의 김경협 민주당 의원은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쓴 글에서 이번에 숨진 공무원을 '월북자'로 칭하는가 하면 사고 발생 후인 전날에는 온라인 의원총회에서 자유발언을 신청해 국회 차원에서 '한반도 종전선언 촉구 결의안'을 논의하자고 촉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최형두 국민의힘 대변인은 "물불을 못가리는 발언"이라며 "지금은 단호한 대북결의가 필요하다"고 꼬집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