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집에 딱 맞는 사이즈, 쉬운 설치와 수리, 사진과는 다른 느낌의 색깔…'.
가전·가구를 살 때 주로 고려하는 이런 요소들 때문에 온라인 쇼핑의 득세 속에서도 소비자는 냉장고나 에어컨을 살 때 오프라인 매장을 찾는다.
지난달에는 긴 장마와 코로나19로 인한 '집콕' 쇼핑의 증가로 이런 경향이 흔들렸던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8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온라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0.1% 늘었다.
이번 조사는 백화점 3곳, 대형마트 3곳, 편의점 3곳, 기업형 슈퍼마켓(SSM) 4곳, 온라인 유통업체 13곳 등 모두 26개 업체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에어컨·선풍기 등 가전·전자(28.0%), 생활·가구(25.4%) 카테고리의 온라인 매출이 상승하며 전체 온라인 매출 증가를 견인했다.
유통업체 온라인 매출은 코로나19 사태가 본격화한 지난 2월 34.4% 급증(전년 대비)한 뒤 3~7월에는 13~16%대 신장을 기록하다가 8월 다시 급성장세를 보인 것이다.
전체 유통업체 매출 11조9천억원 중 온라인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절반에 다가선 45.2%로 전년 같은 기간(40.1%)보다 크게 늘었다.
반면 지난달 백화점과 아웃렛 등 오프라인 유통업체 매출은 2.4% 떨어져 7개월 연속 감소했다. SSM(-7.6%), 백화점(-6.5%), 대형마트(-2.3%) 등이 모두 감소한 가운데 편의점(2.3%) 매출만 조금 늘었다.
8월 오프라인 유통업체 매출 감소에는 코로나19와 두 달 가까이 지속된 장마, 늦은 추석 등이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추석은 9월이어서 선물세트 매출이 8월에 반영됐으나 올해는 그렇지 못했던 것이다.
백화점 매출은 줄었지만 명품 매출은 7월 32.5%에 이어 8월에도 27.6%의 높은 성장세를 이어갔다.
산업부 관계자는 "긴 장마, 코로나19, 지난해보다 늦은 추석 등의 영향으로 8월 오프라인 유통업체 매출이 줄었다"며 "온라인 유통 매출은 실내 활동이 활발해지며 늘었다"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