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중고거래 피해 건수와 금액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 유형도 사기거래부터 개인정보유출, 심지어 성희롱까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정희용 국민의힘 의원(경북 고령성주칠곡)이 사기 피해 정보공유 사이트 더치트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5년부터 2020년 상반기까지 온라인 중고거래로 인한 피해 건수는 81만2천235건, 피해 금액은 7천666억 원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전결제사기공동대응카페에 따르면 2019년 12월 중순부터 2020년 9월 초까지 온라인 안전결제 사기 피해액은 251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중고거래 피해사례 건수는 2015년 9만여 건에서 2019년 23만여 건으로 2.7배 증가했으며, 피해금액도 2015년 758억원에서 2019년 2천767억원으로 2천9억 원이 증가했다.
최근 코로나 19로 인한 오프라인 직거래 대신 택배를 이용한 비대면 거래가 급증하면서 중고거래 사기도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중고거래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도입된 '안전거래'가 오히려 사기 형태의 한 방법으로 악용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안전거래란 구매자가 신용카드, 계좌이체, 무통장 입금 등 물품 대금에 대해 수수료를 지불하고 안전결제 플랫폼으로 결제하는 이용자 보호시스템이다.
중고거래 피해 유형도 다양하다. 판매자가 중고거래 사이트에 거래물품을 올린 후 구매자가 구매 의사를 표시하면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으로 유도하여 가짜 안전거래 사이트(피싱 사이트)로 결제를 유도하고 있다. 심지어는 거래자의 개인정보가 유출돼 괴한이 집으로 찾아오거나 여성의 경우에는 이상한 사진을 요구하거나 음란 문자를 보내는 등 성희롱까지 당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네이버페이를 사칭하는 안전거래 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으나 네이버의 개선 조치는 아직 없다.
정희용 의원은 "예금주에 ㈜네이버페이 등의 이름이 들어가는 송금은 포털사가 '사기위험'이라는 팝업창이 뜨도록 조치할 필요가 있다"며 "포털이 우선적으로 할 수 있는 예방책을 마련하고 과기부는 피해자 보호를 위해 포털사에 제도를 마련토록 권고를 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