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현택환 서울대 교수, 노벨화학상 수상 불발

임마누엘 샤픈티에·제니퍼 도나 올해 노벨화학상 수상자로 선정

현택환 서울대 석좌교수. 연합뉴스
현택환 서울대 석좌교수. 연합뉴스

현택환 서울대 석좌교수(기초과학연구원 나노입자 연구단장)의 국내 첫 노벨과학상 수상은 다음을 기약하게 됐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상위원회는 게놈유전자 서열 방식의 발전을 이끈 임마누엘 샤픈티에·제니퍼 도나를 올해 노벨화학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7일(현지시각) 밝혔다.

현 교수는 올해 노벨화학상 유력 후보자로 여겨졌다. 정보·분석 서비스 기업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Clarivate Analytics)가 현 교수를 '2020년 피인용 우수 연구자' 24명 중 1명에 포함하며, 노벨화학상 수상 후보로 거론했기 때문이다.

특히 그는 대구 출신으로 알려지면서 지역에서 큰 관심을 받아왔다. 달성군 하빈면에서 태어나 경신중과 덕원고를 다니며 어린 시절과 청소년 시절을 대구에서 보냈다.

그는 20년 넘게 나노과학 분야를 연구해온 세계적 석학이다. 지금까지 발표한 400편 이상의 논문 중 7편은 1천 회 이상 인용됐다. 화학 분야에서 1천 회 이상 인용된 논문의 수는 전체 논문의 약 0.025%에 불과하다.

이번 선정에는 '나노입자를 균일하게 합성할 수 있는 표준 합성법 개발' 관련 성과가 근거가 됐다. 다양한 시도를 통해 균일한 나노입자 합성에 성공한 것이다. 이 연구는 2001년 미국화학회지(JACS)에 게재됐으며, 현재까지 1천660회 인용됐다. 이후 균일한 나노입자의 대량 합성 방법을 개발해 2004년 12월 '네이처 머터리얼스'(3천 회 인용)에 발표하기도 했다.

사람들은 이번 수상 무산이 아쉽기는 하지만 후보군에 오른 것만으로도 뿌듯하고 국내 과학계의 저력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현 교수는 매일신문과 인터뷰에서 "이번에 노벨상 유력 후보로 올라 전세계적으로 저의 이름을 각인시킨 것만으로도 영광이다"며 "제가 연구하고 개발했던 결과물들이 연구실이나 실험실에서 끝나지 않고 산업 현장에서 두루 활용되는 것이 기쁘다. 앞으로도 이 분야 발전을 위해 묵묵히 걸어가겠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