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옵티머스 문건 ‘허위’라는 추 장관, 권력형 비리 덮으려 드나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13일 오전 국무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정부서울청사에 출근하고 있다. 연합뉴스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13일 오전 국무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정부서울청사에 출근하고 있다. 연합뉴스

옵티머스 펀드 사기 의혹이 대형 권력형 비리로 확대될 조짐인 가운데 추미애 법무부장관이 사건을 덮으려 한다고 의심할 수밖에 없는 언행을 보이고 있다. 수사를 맡은 서울중앙지검 조사1부가 확보한 옵티머스 내부 문건에는 청와대와 정·관계 인사 20여 명이 언급돼 있다고 한다. 옵티머스 사태와 어떤 형태로든 연관되어 있다고 보는 것이 상식적이다. 그러나 추 장관은 이런 상식을 파괴한다.

추 장관은 12일 국회 법사위 국정감사에서 '문건'에 대해 "금융감독원 조사를 대비한 허위 문건이라는 주장도 있다"고 했다. 문건의 내용에 대해서도 "실명 기재 보도는 전혀 사실과 다르다"는 취지로 말했다. 또 강기정 전 청와대 정무수석이 '라임' 측으로부터 5천만원을 받았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돈을 받은 바 없다는 것이 조서에 기재돼 있다"고 했다.

옵티머스와 라임 의혹 모두 사실무근이라는 소리다. 그러나 추 장관의 '애완견'으로 불리는 이성윤 서울중앙지검장의 움직임은 이를 정면으로 부인한다. 이 지검장은 지난주 다른 검찰청에서 검사 4명을 파견받아 현재 10명 정도인 수사팀을 보강하겠다고 대검에 요청했다고 한다. 옵티머스 의혹이 사실무근이라면 이 지검장이 왜 이렇게 했겠나?

중앙지검은 지난 6월 문제의 문건을 확보하고도 덮어뒀고, 윤 총장은 최근에야 문건에 대한 보고를 받았다고 한다. 수사를 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을 막으려는 '윤 총장 패싱'이다. 그랬던 중앙지검이 수사팀 보강을 요청한 것은 언론의 잇따른 의혹 보도 등 사태가 수사를 계속 뭉개기 어렵게 됐기 때문일 것이다.

윤 총장은 수사 상황을 보고받고 이 지검장에게 "검사를 추가로 대폭 증원하라"고 지시했다. '똑바로 수사하라'는 메시지라는 게 검찰 내부의 해석이다. 이 지검장이 그렇게 할지 의문이지만 어쨌든 옵티머스 수사는 이제부터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나온 추 장관의 발언은 사실상의 수사 지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울산시장 선거 개입 의혹을 덮었듯이 옵티머스 의혹도 덮겠다는 것인가?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