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환경부 대구취수원이전 설명회 앞두고, 경북 구미 ‘짜맞추기식’ 반발

낙동강 본류에 있는 경북 구미 해평취수장. 메일신문DB
낙동강 본류에 있는 경북 구미 해평취수장. 메일신문DB

환경부가 이달 말 경북 구미에서 '낙동강 통합물관리 방안 연구용역' 설명회를 앞두고 있지만, 구미지역 단체들이 '짜맞추기식' 설명회라며 반발하고 있다.

대구시 취수원의 낙동강 상류 이전을 놓고 대구와 구미시가 14년째 갈등을 빚는 상황에서 환경부가 두 도시 간의 식수원 갈등을 풀기 위해 설명회를 여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환경부의 용역안은 낙동강 수계에 의존하는 대구시민의 식수 58만t 중 대구 매곡·문산정수장에서 28만t을 생산하고 나머지 30만t은 해평취수장에서 끌어 쓰는 내용을 담고 있다.

환경부 측은 "지역 간 상생을 담은 취수원 다변화는 설득 카드로 적절한 대안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대구시도 다변화 정책을 반기며 구미시민의 식수 이용에 지장이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이달 7일 권영진 대구시장은 "가뭄으로 구미지역 용수 부족이 우려되면 해평취수장 물을 사용하지 않겠다"면서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재산 피해를 보는 해평면 일대 주민을 위해 구미시에 상생기금으로 매년 100억원을 지원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구미시와 지역 단체들의 반응은 싸늘하다.

구미시는 "환경부가 구미 여론 수렴 없이 용역을 진행했고 경제성도 제대로 검토되지 않아 정책 결정 자료로 미흡하다"며 "대구시도 취수원 이전 여론몰이를 중단하고, 자구노력부터 하라"고 촉구했다.

구미시 민·관협의회(위원장 윤종호 구미시의원) 및 범시민반대추진위원회(위원장 김상섭)는 "해평취수장을 공동 사용하면 수량 부족과 수질 악화는 물론 상수원보호구역 확대로 주민 재산권 침해도 불가피하다"며 "환경부의 대구취수원 확보와 관련해 대구시에 유리하도록 편파적 용역을 실시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한 이들 단체들은 "이번 용역(안)에 대해 환경부가 성과 도출에 급급해 대구취수원을 구미 해평취수장으로 이전하려는 논리에 초점을 맞춰 주먹구구식으로 실시한 부실 용역"이라고 지적했다.

윤종호 위원장은 "이번 용역은 구미지역 주민들에게 단 한 번의 사전설명회나 의견수렴 절차 없이 대구시의 입장만 고려해 중립적이지 못하다"면서 "물 다변화라는 타당성이 부족한 환경부의 짜맞추기식 용역에 대해 지역 주민들이 분노를 금치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