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신라시대 '보당'이 경북 경주 절터에서 국내 처음 출토됐다. 조계종 불교문화재연구소는 경주 황용동에 있는 황용사(黃龍寺) 터의 서탑 터 주변 유적을 조사하다 금동제 보당을 발굴했다고 22일 밝혔다.
보당은 깃발을 매다는 기둥인 당간 부분과 당간을 아래서 받치는 지주부와 기단부로 나뉜다. 출토품은 당간과 기단부만 남은 모습으로 나왔는데, 두 부분을 합친 길이는 110㎝ 정도다.
국내에서 보당은 삼성미술관 리움에 소장된 용머리 달린 고려시대 금동 용두보당(국보 제136호, 높이 73.8㎝)이 대표작으로 알려져 있으나 출토품은 이 보다 크고 제작시기도 앞선다.
보당이 나온 서탑 터 주변에선 회랑과 건물터, 석축, 석렬 등도 잇따라 드러났다. 이곳에선 2018년 절터에서 처음 나왔던 통일신라시대 투조(透彫, 문양 일부에 구멍을 뚫는 조각 방식) 금동귀면 2점이 추가로 나왔고, 앞뒷다리를 뻗은 모양의 받침용 금동사자상 2점과 금동불상 옷자락 조각, 금동제 연봉, 촛대받침 등도 수습됐다. 특히 금동불상 대좌 위에 흘러내린 형상의 옷자락 조각은 직경이 30㎝가 넘어 불상 전체 높이는 1m 이상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황용사는 경주 보문단지에서 감포 방면으로 넘어가는 동대봉산(옛 은점산) 절골에 있었던 사찰로 신라 최대 호국(護國) 사찰인 황룡사(皇龍寺)와는 다른 절이다.
최인창 불교문화재연구소 팀장은 "20점 이상의 다양한 금동제 유물이 이번 조사를 통해 확인됐다. 불국사 말사였던 황용사의 위상이 창건 당시엔 경주의 도심사찰 못지않게 높았을 것으로 짐작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