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경CEO브리핑 "대구를 신재생에너지 자립도시로"

신재생에너지로 패러다임 변화, 정부 그린뉴딜 정책과도 부합
신재생에너지 소비비중 전국 3위 수준, 10년 간 소비량 증가율은 1위

신재생에너지 유형 분류. 대구경북연구원 제공
신재생에너지 유형 분류. 대구경북연구원 제공

대구를 신재생에너지 자립도시로 만들자는 대구경북연구원의 제안이 나왔다. 정성훈 대구경북연구원 연구위원은 27일 대경CEO브리핑 627호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정 연구위원은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이 향후 신재생 에너지 전망을 밝게 하는 요소라고 밝혔다. 2025년까지 국비 114조원을 투입하는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에서 신재생에너지와 녹색인프라에 각각 국비 24조3천억원, 12조1천억원이 투입되는 등 비중이 상당하다.

현재 대구시의 위치도 신재생에너지 자립도시로 도약할만한 기반을 갖췄다는 분석이 나온다. 대구시 신재생에너지 소비량 비중은 3.4%로 세종시(8.7%)와 대전시(4.2%)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대구시의 최근 10년간(2009~2018년) 에너지원별 소비량 추이에서도 신재생에너지 연평균 소비 증가율(11.3%)이 가장 높아서 신재생에너지 사업 추진에 유리한 여건을 갖추고 있다.

정 연구위원은 신재생에너지 특화지구 지정과, 신재생에너지 특화형 시범사업 추진을 제시했다.

그는 "민간사업자가 자발적으로 신재생에너지 건축기법을 도입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는 건폐율, 취득세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대구시 신재생에너지 도시 조성을 위한 지원 조례'를 제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