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의 40여 년 주민 숙원인 천북면 신당3리 한센인촌 '희망농원 환경개선 사업'이 본격 추진된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정부가 경주와 칠곡의 한센인 260여 명의 자활을 위한다는 이유로 경주보문단지 일대에 1959년 만든 양계장 마을인 희망농원에 입주한 주민은 1978년 보문단지 개발로 강제 이주당한 뒤 무허가 건물의 열악한 환경에 시달린 한(恨)을 풀게 됐다. 40년 넘게 외면당한 이들 삶을 되돌아보면 억울하고 늦었지만 다행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번 환경개선 사업 추진은 지난 3월 희망농원 주민 대표와 경주시가 국민권익위원회에 무허가 건물에 따른 증개축 어려움, 양계(養鷄) 축사의 악취 등 나쁜 환경 개선을 건의하면서 계기가 마련됐다. 마침내 지난 28일 국민권익위원장의 현장 방문과 주민 대화 등을 통해 사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다. 낡은 집단 닭 사육 시설과 1급 발암물질로 알려진 폐슬레이트 철거 등에 드는 국비 210억원 확보 등을 위해 경북도와 경주시, 포항시 등 관련 지자체 모두 적극 나서기로 뜻을 모아 이제 궤도에 오르게 됐다.
처음 260여 명이었던 희망농원에는 이제 160여 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특히 이들은 정부 정책에 의해 두 차례나 삶터를 옮겨야 했지만 정작 정부는 이들이 겪는 불편한 삶에 대해서는 외면하다시피 했다. 처음부터 무허가 건물로 방치한 탓에 집을 마음대로 늘리거나 고쳐 짓지 못했다. 그런 데다 오랜 세월로 시설은 낡고 환경은 나빠졌지만 손을 댈 수 없었다. 닭을 기르는 축사에 따른 악취 문제는 물론, 마을 생활하수가 이웃 포항시민의 식수원인 형산강으로 흘러들었으니 또 다른 민원이 되는 악순환이었다.
국민권익위원회와 관련 지자체가 서로의 역할을 확인한 만큼 이제 남은 과제는 작업을 서둘러 주민 숙원이 하루빨리 이뤄지도록 행동에 나서는 일이다. 주민들이 40년 넘는 세월을 견디며 보낸 힘겨운 삶에서 하루라도 빨리 벗어날 수 있도록 모두 행정력을 동원해야 한다. 예산의 차질 없는 확보를 위해 지역 정치권도 힘을 보태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