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속보] 의협 "정부 의대생 국시 문제 책임 회피…다시 강력 투쟁"

최대집 대한의사협회 회장. 자료사진. 연합뉴스
최대집 대한의사협회 회장. 자료사진. 연합뉴스

대한의사협회는 의료계 총파업에 동참하는 차원에서 국가시험 응시를 거부했던 의대생들에게 국시 재응시 기회를 부여하지 않고 있는 정부를 규탄하겠다는 성명서를 어제인 29일 발표한데 이어(매일신문 '최대집 의협 회장 "의대생 인질극…정부에 강력 대응"' 보도), 30일에는 관련 대응을 위한 비상연석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의협은 이날 의대생들의 입장을 듣고 대책을 논의했으며, 가칭 범의료계투쟁위원회(범투위)에 공식 논의를 요청하겠다고 설명했다.

의협은 이날 오후 1시 서울 용산구 소재 의협 임시회관 7층 회의실에서 최대집 의협 회장을 비롯해 상임이사와 대의원회, 시도의사회, 의학회, 대한전공의협의회,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 대표 등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비상연석회의를 진행했다.

최대집 회장은 "9·4 의정합의 후 합의 이행에 미온적이었던 정부가 최근 의정협의체 구성을 요청하면서도 본과 4학년 학생들의 국시 응시 관련 문제에 대해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며 "국회에서도 합의에 대한 사실상의 보복 입법이 쏟아지고 있다. 여당 및 정부가 합의를 이행할 의지가 있는지 의문"이라며 당정을 비판했다.

특히 의대생들의 국시 재응시 문제와 관련해 "당정이 이를 해결할 의지가 없다면 약속을 지킬 의지가 없는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 의료계는 다시 강력한 투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회의에는 의과대학생 국시 응시자 대표 이지훈 씨가 참석, "현재의 국가시험 관련 상황은 잘못된 의료환경 및 정책을 바로잡기 위한 단체 행동의 일환 및 결과로서 나타난 것이 본질"이라며 "의대생들은 국시 문제가 의료계와 정부 사이의 협의체 구성에 발목을 잡거나 마찬가지로 협의에 유·불리 요인이 되는 것 역시 원치 않는다"고 입장을 전했다.

이날 토론에서는 어제 성명서에서 밝혔던 것처럼 정부와의 정책 협의 이전에 의대생 국시 응시 문제가 해결돼야 하고, 이 과정에서 당사자인 학생들의 의향이 우선 돼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아울러 내년 초 예정된 신규 의사 상당수가 배출되지 않는 상황은 의료 현장에 혼란을 유발하고 국민 건강에도 위해를 끼칠 수 있다는 점을 언급, 이런 내용을 정부와 여당은 물론 국민들에게도 알려 문제를 조속히 해결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또한 의협은 "이 같은 협의와 투쟁의 중심에서 범투위가 구심점 역할을 해야 한다"며 범투위 조직의 확대 개편에 대해서도 밝혔다.

범투위는 이날 회의에서 나온 내용들을 공식 안건으로 다루고자 11월 초 첫 회의를 열 예정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