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미래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주목받는 '하이퍼루프(hyperloop)'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하이퍼루프는 낮은 압력의 튜브 안에서 시속 1천km로 운행 가능한 자기부상 고속철도로, 지난 2013년 일론 머스크가 소개하면서 널리 알려졌다. 에너지 소비량이 항공기의 8%, 고속철도의 30% 수준이며 이산화탄소와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하이퍼루프의 핵심은 고속이동을 위한 튜브의 직진성, 안정성 확보이다. 이를 위해서는 사용 소재가 기밀성·가공성·경제성 등을 모두 만족시켜야 한다.
철강은 하이퍼루프 내부압력을 최대한 진공 상태로 오랫동안 유지하는 기밀성, 튜브 연결부위의 정밀한 가공성 등이 뛰어나 가장 적합한 소재로 평가받는다.
포스코는 이와 관련해 지난 6일 타타스틸 유럽과 하이퍼루프 전용 강재와 구조솔루션 개발 및 글로벌 프로젝트 공동 참여 등 사업 전반에 대한 협약을 체결했다.
두 회사는 하이퍼루프 성능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지름 약 3.5m의 거대한 강철 튜브를 제시하고, 맞춤형 고품질 철강재와 혁신적인 튜브 디자인을 개발할 예정이다.
또 유럽 등에서 진행중인 글로벌 하이퍼루프 프로젝트에 함께 참여하고, 하이퍼루프 관련 회사들과도 협력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이덕락 포스코 기술연구원장은 "포스코는 다양한 형태의 강재 튜브 설계, 구조 최적화 연구를 10여 년 전부터 진행해 왔다"며 "구조 안정성과 경제성 측면에서 최적의 강재와 구조솔루션을 개발해 하이퍼루프 실용화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타타스틸 유럽 CTO 에른스트 호흐네스는 "흥미로운 프로젝트를 포스코와 함께 해 기쁘다"며 "양사의 전문적 기술을 공동으로 활용해 탈탄소화에 기여하고 고객이 필요로 하는 혁신적인 제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포스코는 하이퍼루프 전용 강재 및 이용기술 솔루션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 타타스틸 유럽은 튜브 구조기술에 강점이 있어 시너지를 창출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타타스틸 그룹은 연간 조강 생산량 3천400만t 규모의 글로벌 철강사이다. 타타스틸 유럽은 유럽 전역에 제조공장을 두고 자동차·건설·인프라 등 수요산업에 고품질의 철강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