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많이 힘드시죠? 인생이 고통스러울 때 가장 효과 좋은 진통제는 영화입니다."
김중기 영화평론가(문화공간 '필름통' 대표)는 9일 대구 그랜드호텔에서 열린 매일 탑 리더스 아카데미에서 '인생은 아름다워-내 인생의 영화'를 주제로 강연하며 영화가 가진 힘을 역설했다.
인간은 힘든 일을 겪을 때 예술로 마음을 달래려 하는데, 영화는 다양한 예술 중에서도 가장 효과적으로 위안을 주는 장르라는 것이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수많은 사람이 인생을 희망보다 절망으로 바라보는 현재, 영화의 힘은 더욱 커진다는 것이 김 평론가의 생각이다.
김 평론가는 강연에서 영화의 서사와 개인의 서사를 연결하며 영화를 설명했다. 두 요소가 결합하며 영화의 해석과 의미가 재탄생되고 다채로워짐을 말하기 위해서였다.
김 평론가가 꼽은 '최고의 사랑 이야기'는 1965년 개봉한 데이빗 린 감독의 '닥터 지바고'였다. 20세기 초 러시아 사회의 불안을 기록한 영화 닥터 지바고는 차가운 시베리아 벌판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사랑 이야기를 다룬 작품이다.
그는 "중학생 때 대구 만경관에 닥터 지바고를 보러 갔다. 당시 극장 천장 일부분이 뚫려 찬바람이 들어왔는데 내가 정말 시베리아에 온 것 같은 느낌이었다"며 "그렇게 영화에 푹 빠졌다가 밤늦게 집으로 돌아왔는데 어머니와 큰형이 걱정스러운 표정으로 기다리고 계셨다. 가족의 사랑을 느끼며 잠든 그날 저녁의 따뜻한 방은 아직도 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음악이 영화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강조했다.
김 평론가는 한국 영화 최고작 중 하나로 허진호 감독의 '8월의 크리스마스'를 들며 영화 전반에 흐르는 가객 김광석의 음악에 귀 기울여볼 것을 권했다.
그는 "김광석의 노래 '거리에서'가 영화 속에서 죽음을 앞둔 젊은이(한석규 분)의 모습과 조화를 이룬다"며 "죽음 앞에서도 애써 웃는 주인공의 모습과 김광석이라는 사람의 인생이 겹치며 이 영화의 감동은 배가 된다"고 했다.
한편 김 평론가는 최근 광주에서 열린 한 영화 프로그램에서 봉준호 감독에 관해 얘기한 경험을 들며 '대구의 예술성'에 대한 자부심도 드러냈다.
김 평론가는 "당시 8시간 가까이 다른 평론가들과 봉준호 감독에 대한 생각을 나누며 묘하게 봉 감독이 대구 출신이라는 자부심이 느껴졌다. 김광석도 대구 출신이 아니냐"며 "대구라는 땅이 가진 힘이 있다"고 했다.
이어 "힘든 시기지만 좋은 영화를 보며 소소한 즐거움을 느끼고 행복한 삶을 계속해서 이어나가길 바란다"고 응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