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가 코로나 백신 기대감으로 개선됐던 투자 심리가 주춤하는 가운데 부진했던 기술주가 반등하는 등 혼조세를 보였다.
11일(미 동부 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3.29포인트(0.08%) 하락한 29,397.63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27.13포인트(0.77%) 오른 3,572.66,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32.57포인트(2.01%) 상승한 11,786.43에 장을 마감했다.
최근 미국 제약사 화이자의 코로나 백신이 탁월한 효과를 보였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백신 개발과 경기 회복 기대감이 커지면서 경기 순환 민감주들이 급등했었다. 반면 코로나 수혜주로 꼽혔던 언택트주들은 폭락을 면치못했다.
하지만 이날은 기술기업 주가가 반등에 성공하고, 항공 제작사 보잉 등 코로나 백신 기대에 민감한 종목의 주가는 다시 하락했다.
경기 순환주로 꼽히는 보잉 주가는 3.5%가량 내렸고, GM(제너럴모터스)도 1% 넘게 내렸다. 금융주 JP모건체이스와 에너지주 엑슨모빌도 각각 1% 이상 떨어졌다.
반면 아마존은 3.4% 올랐다. 애플도 3% 상승했고, 화상회의 시스템인 줌은 9.9% 급등했다. 넷플릭스와 인텔도 2% 이상 올랐다.
이날 업종별로는 기술주가 2.41% 반등했다. 산업주는 0.88% 내렸다.
최근 2거래일 동안 기술주에서 경기 순환주로 자금이 이동하는 흐름이 급격했지만, 주요 기술 기업의 기초체력이 탄탄한 만큼 주가가 추세적으로 하락하지는 않을 것이란 분석도 여전하다.
또 백신이 개발된다 하더라도 보급과 보편적인 접종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점이 급격하게 요동치던 시장을 차분하게 만들었다.
특히 코로나19 상황도 심상치 않다. 전일 기준 미국 내 코로나19로 입원한 환자 수는 6만2천 명에 육박해 지난 4월의 정점인 약 6만 명을 넘어섰다. 하루 평균 신규 확진자 수도 10만 명대 이상이 이어지고 있다.
봉쇄 조치를 강화하는 지역도 늘어나고 있다.
이날 앤드루 쿠오모 뉴욕 주지사는 오는 금요일부터 주 전체의 술집과 체육관 등의 야간 영업을 다시 중단할 것이라 발표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