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항 지진피해 '대성아파트 E동' 철거…"너무 슬퍼요"

집에 두고나온 소중한 물건들 철거 잔해 속에 묻혀

13일 오전 포항시 북구 흥해읍 대성아파트 E동 철거 현장을 찾은 전 입주민이 옛 추억을 생각하며 철거 장면을 스마트폰으로 촬영하고 있다. 배형욱 기자
13일 오전 포항시 북구 흥해읍 대성아파트 E동 철거 현장을 찾은 전 입주민이 옛 추억을 생각하며 철거 장면을 스마트폰으로 촬영하고 있다. 배형욱 기자

"아, 슬프다. 너무 슬프다."

13일 오전 10시 경북 포항시 북구 흥해읍 마산리 대성아파트 E동 철거 현장은 육중한 중장비가 건물을 부수느라 쉴 새 없이 움직이며 먼지를 풍겼고, 그 사이로 노동자들이 먼지 비산을 막으려 열심히 물을 뿌려댔다. E동은 3년 전 규모 5.4 지진으로 벽면 균열 등 심각하게 파손된 데다 3도 기울어져 '피사의 아파트'로도 불린 건물이다.

부산한 철거 현장 입구에 이 아파트 전 주민으로 보이는 50대 여성이 천천히 다가서더니 "다시 여기서 살고 싶은데, 좋은 추억이 많았는데 너무 슬프다"고 혼잣말을 중얼거렸다.

그는 이곳에 30여 년을 살았고, 지진이 나기 전 큰 돈을 들여 새집처럼 꾸몄다고 했다. 하지만 지진으로 집이 파손된 뒤 붕괴위험이 커진 탓에 새로 산 냉장고는 고사하고 덩치 큰 물건은 아무것도 갖고 나오지 못했다.

그는 이재민 임시구호소를 거쳐 정부가 마련한 LH 임대주택에서 2년여간을 살다 지금은 새로운 보금자리를 꾸렸다.

"정든 집을 그냥 떠나보내기에 가슴이 먹먹해 사진 하나라도 더 남기려고 가끔 한 번씩 철거 현장을 찾는다"고 그는 말했다.

건물 잔해 더미 속에는 이 여성의 냉장고처럼 이곳에 살던 이들이 도망치듯 집을 나서며 미처 챙기지 못한 소중한 것들이 잔뜩 묻혀 있다.

철거업체 현장소장은 "철거하기 전 쓰레기 분류를 위해 집집마다 들러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무거운 가전제품은 들고 나오기 어려워 건물과 같이 부술 수밖에 없었다"며 "전 입주민들이 한번씩 찾아오는데 현장을 보고 눈시울을 붉히는 이들도 있다"고 했다.

이 업체가 맡은 구역은 E동으로 현재 3분의 1 정도의 공정이 끝났다. 15일쯤에는 건물 잔해들이 건설폐기물 이름을 달고 처리장으로 실려 나갈 예정이다. E동 양 옆에 있는 D동과 F동도 철거 순번을 기다리고 있다. 대성아파트 A~F 6개 동 중 A, C동은 올해 중순 철거가 완료됐고, B동은 현재 철거가 진행 중이다.

포항지진 상징물이 됐던 대성아파트 단지가 사라지면 이 터에 정부의 '특별재생계획'이름으로 도서관과 어린이집, 보건소, 트라우마센터 등 공공시설물이 들어선다.

포항시는 지진으로 전파 판정을 받은 철거대상 건축물 대성아파트, 경림뉴소망타운, 대웅파크맨션 2차 등의 철거를 올 연말까지 모두 끝내고 공공시설물 공사 발주를 진행할 계획이다.

포항시 관계자는 "대성아파트 터는 내년 4월쯤 공공시설물 공사 발주가, 다른 아파트 터는 내년 초 공사 발주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했다.

13일 오전 포항시 북구 흥해읍 대성아파트 E동 철거 현장을 전 입주민들이 안타까운 눈으로 보고 있다. 배형욱 기자
13일 오전 포항시 북구 흥해읍 대성아파트 E동 철거 현장을 전 입주민들이 안타까운 눈으로 보고 있다. 배형욱 기자
13일 오전 포항시 북구 흥해읍 대성아파트 E동 철거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배형욱 기자
13일 오전 포항시 북구 흥해읍 대성아파트 E동 철거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배형욱 기자
13일 오전 포항시 북구 흥해읍 대성아파트 E동 철거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배형욱 기자
13일 오전 포항시 북구 흥해읍 대성아파트 E동 철거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배형욱 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