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다우지수 사상 첫 3만 돌파…정치·백신 기대감에 증시↑

S&P도 사상 최고치 경신
정권 이양 불확실성 해소·백신 기대감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입회장에서 트레이더들이 업무에 임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입회장에서 트레이더들이 업무에 임하고 있다. 연합뉴스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가 사상 처음 3만선을 돌파했다. 미국 정권 이양에 대한 불확실성 감소와 코로나19 백신 기대감 등으로 다우지수를 포함한 주요지수가 큰 폭으로 올랐다.

24일(현지 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장보다 454.97포인트(1.54%) 오른 30,046.24에 거래를 마쳤다.

3만을 넘은 것은 124년 다우지수 역사상 처음이다. 다우 지수는 1896년 출범 후 1만 선 돌파에는 103년(1999년 3월)이 걸렸고, 2만선을 뚫는 데는 18년(2017년 1월)이 걸렸다. 하지만 2만선에서 3만선까지는 불과 3년 10개월밖에 걸리지 않은 것이다.

이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도 전장보다 57.82포인트(1.62%) 오른 3,635.41에 거래를 마쳐 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56.15포인트(1.31%) 상승한 12,036.79에 장을 마감했다.

시장이 가장 주목한 이슈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공식 정권인수 절차 소식이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대선 결과에 승복한 것은 아니라면서도 국익을 위해 정권 이양 관련 절차를 진행하라고 말해 정권 이양 불확실성이 해소된 것이다.

또 바이든 당선인이 친시장 성향으로 분류되는 옐런 전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을 차기 정부의 재무장관으로 내정한 점도 투자 심리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여기에 화이자, 모더나에 이어 아스트라제네카가 코로나 백신에 긍정적 결과를 발표하면서 여전히 불안한 코로나19 상황에서도 희망적인 신호로 받아들여진 것으로 보인다.

이날 다우 편입종목 30개 가운데 3개를 제외한 27개가 상승했다.

다우에는 주로 항공주와 은행주, 제조업 등 대형 가치주 30종목이 편입돼있다. 코로나 쇼크 이후 증시 랠리를 주도해왔던 기술주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평가돼왔던 다우 종목들이 코로나 회복 조짐에 강세를 보인 것이다.

미국 2대 정유사인 쉐브론은 5.04%나 오르면서 3만 돌파를 이끌었고, 대형 은행주인 P모간체이스(+4.62%)와 골드만삭스(+3.79%)도 급등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