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와 아마추어를 비교할 때 가장 극단적인 차이를 보여주는 스윙의 구간은 다운스윙이라고 할 수 있다. 골퍼의 기량에 따라 실력 편차가 들쭉날쭉하게 드러나지만 대체적으로 살펴볼 때 다운스윙의 능력 여부가 프로와 아마추어를 구분하는 바로미터가 될 수 있다. 프로의 다운스윙은 확실하게 트랜지션, 즉 전환동작을 반드시 구현해 이 영역을 통과하지만 아마추어의 경우 대부분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 프로들의 평가다.
전환 동작은 백스윙 이후 다운스윙으로 바뀌는 몸의 동작 일체를 얘기하며 이 가운데 전환동작의 첫 움직임은 매우 중요한 요소들을 듬뿍 담고 있다. 이는 다른 표현으로 하체리드의 첫 신호로 이야기 할 수 있다. 하체 리드를 얼마나 잘 하느냐에 따라 비거리가 결정되는 까닭에 프로들은 많은 시간을 할애해 이 동작을 자신의 스윙 잣대로 여기기도 한다.
GG스윙의 다운스윙 동작은 하체 리드에 대한 중요성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특히 트랜지션의 매끄러운 구현은 GG스윙에선 스윙의 완성도를 판가름하는 열쇠로 여기고 있으며 그 중 스쿼트 자세의 실현 여부로 여타 스윙과 구별한다. 스쿼트 자세는 GG스윙에서 지면반력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는 자세로 비거리와 직접적인 관계를 갖게 된다.
스쿼트 동작은 일반 스윙에선 찾아 볼 수 없는 GG스윙만의 독창적인 자세이다. 스쿼트는 전환 동작을 이끌어내는 원동력이며 또한 척추각을 임팩트까지 유지시켜 주는 요소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아마추어를 비롯해 프로들조차 좋은 스윙의 기준을 삼는 가장 중요한 판단 기준이 볼의 하향타격, 즉 다운블로우 방식으로 임팩트를 실현했는가의 여부다. 최상의 임팩트를 위해 수많은 시간을 투여하고 노력하기를 주저하지 않는데 GG스윙의 스쿼트 자세는 다운스윙을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는 마법의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백스윙 정점에서 만드는 양 손목의 동작도 다운스윙에서 완결돼 임팩트로 향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일명 수피네이션이라고 이야기하는 왼손목 코킹 풀기와 오른손목 힌지의 유지는 스쿼트 동작과 더불어 비거리 확보의 중요한 다운스윙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다운블로우를 더욱 완결성 있게 이끌어내는 이 동작들은 모두 GG스윙의 큰 특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볼의 방향성에서도 중요한 테크닉으로 이용되고 있다.
대부분 하이 핸디 수준의 아마추어 스윙의 가장 큰 결점은 하체리드를 통한 임팩트를 구사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물론 이 과정이 결코 쉽지 않은 방법이지만 제대로 된 스윙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지점으로 볼을 날려 보내기를 원한다면 하체를 활용한 스윙을 반드시 터득해야한다는 점을 잊지말아야 한다. 아마추어 골퍼들이 프로들처럼 역동적인 하체스윙을 습득하지 못한다 하더라도 최소한 다운스윙에서 하체의 유기적인 움직임은 필수적인 스윙 요소라는 점을 기억해야 기량이 정체되지 않고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자. 골프 칼럼니스트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