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치러진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한국사 20번 문제가 변별력 논란에 휩싸였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공개한 수능 시험지에서 한국사 20번은 '다음 연설이 행해진 정부에서 추진한 정책으로 옳은 것을 고르라'는 문제로, 노태우 전 대통령의 연설을 지문으로 제시했다.
지문은 '지난해 남과 북은 유엔에 동시 가입한 후 대결과 단절의 시대를 끝내고 평화와 공영의 새 시대를 열기로 합의하였습니다. 한반도의 비핵화를 자주적으로 실현하려는 우리의 노력도 북의 호응으로 큰 진전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제 우리에게 통일은 소망이 아니라 현실로 다가오고 있습니다'이다.
지문에서 '지난해 남과 북은 유엔에 동시 가입한 후 대결과 단절의 시대를 끝냈다'는 내용에서 정답을 유추할 수 있다. 남북은 1991년 9월 유엔에 동시 가입했다. 즉 노태우 정부에서 이뤄진 정책을 선택하는 문제였다.
선택지는 이렇다. ①당백전을 발행하였다. (조선시대) / ②도병마사를 설치하였다. (고려시대)/ ③노비안검법을 시행하였다. (고려시대) / ④대마도(쓰시마섬)를 정벌하였다. (고려·조선시대)/ ⑤남북 기본 합의서를 채택하였다. (노태우정부)
1번부터 4번은 중세, 근대에 이뤄진 내용이고 5번만이 현대라는 점을 쉽게 유추해볼 수 있다. 노태우정부의 정책인 점을 모르더라도 5번만이 현대에 일어난 일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정답을 맞힐 수 있는 것이다.
해당 문제는 3점짜리 문제다. 필수영역인 한국사는 절대평가여서 50점 만점에 40점 이상이면 1등급을 받는다.
수능 출제본부는 한국사 영역에 대해 "한국사에 대한 기본소양을 갖췄는지 평가하기 위해 핵심적이고 중요한 내용 중심으로 평이하게 출제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윤희숙 국민의힘 의원은 해당 문제를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리며 "페친 여러분들 어떤 생각이 드십니까?"라는 글을 올렸다.
온라인 댓글란에도 "테스형 수능이 왜 이래" "재난 지원 수능 문제" "문제를 쉽게 내서 정권 지지율을 높이려는 것 아니냐" "실력이 아닌 시력으로 풀 수 있는 문제" "한글 읽을 줄 아는지 평가하는 것 같다"라는 지적이 쏟아졌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
[단독] 국민의힘, '한동훈 명의 당원게시판 사태' 덮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