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3차 대유행'이 무서운 기세로 확산하고 있다. 지난달 달까지만 해도 100명 안팎에 머물던 신규 확진자 수는 200명대를 넘어 300명대→400명대→500명대를 거쳐 600명대까지 급격히 치솟았다.
특히 평일 대비 검사 건수가 8천 건 이상 줄어든 주말에도 확진자가 600명 선을 넘어서고, 양성률이 4%대까지 치솟는 등 감염 확산 사례를 보여주는 각종 지표가 연일 악화하고 있다.
정부가 8일 0시부터 오는 28일까지 3주간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두기'를 2.5단계로, 비수도권은 2단계로 일괄 격상했지만,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약 1∼2주의 시간이 걸리는 점을 고려하면 코로나19 확산세는 당분간 이어질 거라는 전망이 앞선다.
◆ 주말 검사건수 줄었지만 역대 3번째
7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전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631명으로 집계됐다.
'3차 대유행' 이후 최다 기록이자 '1차 대유행'의 절정기였던 2월 29일 909명과 3월 2일 686명에 이어 역대 3번째 규모다.
전날 검사 건수 대비 확진자를 계산한 양성률은 4.39%(1만4천371명 중 631명)로, 직전일의 2.53%(2만3천86명 중 583명)보다 1.86%포인트나 상승했다. 100명을 검사해서 평균 4.4명꼴로 확진된 셈이다.
이날 오전 발표될 확진자 수도 600명 안팎이 될 가능성이 높다.
방역당국과 각 지방자치단체가 전날 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중간 집계한 신규 확진자는 459명이다.
이는 직전일 동시간대에 집계된 405명보다 54명 많은 수치다. 405명이 6시간 만에 631명으로 불어난 것을 감안하면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도 꽤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3차 유행 시작 이후 첫 300명대가 나온 지난달 19일부터 이날까지 18일간 일별 신규 확진자를 보면 325명→348명→386명→330명→271명→349명→382명→581명→555명→503명→450명→438명→451명→511명→540명→629명→583명→631명 등이다. 이 가운데 400명대는 3차례, 500명대는 6차례, 600명대는 2차례다.
◆때늦은 조치…상향 효과 떨어질 것
정부도 코로나19 확산세가 이미 본격적인 '대유행'의 단계로 진입한 데다 전국적 대유행으로 팽창하기 직전의 위험한 수준이라고 진단했다.
정부는 앞서 이달 1일부터 수도권에는 2단계에 더해 시설별 방역 조처를 강화한 이른바 '2단계+α'를, 비수도권에는 1.5단계를 각각 적용해왔으나 거리두기 효과가 전혀 나타나지 않자 1주일 만에 다시 단계를 올리기했다.
그러나 거리두기 단계 추가 격상 필요성을 제기해 온 전문가들은 정부가 좀 더 서둘렀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더 큰 문제는 중환자 병상 포화가 의료체계 전반에 큰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중환자 병상 부족 사태는 점점 현실화하고 있다.
코로나19 중환자가 당장 입원할 수 있는 병상은 지난 5일 기준으로 전국에 총 55개만 남아 있는 상태다. 이는 전체 중환자 병상 550개의 10%에 불과한 수치다.
수도권의 가용 병상은 20개(서울 9개·경기 6개·인천 5개)뿐이고, 대전·전북·충남·전남지역에는 단 한 개도 남아 있지 않은 상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