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정부, 올해 성장률 전망 –1.1%→-1%대로 사실상 하향 조정

거시경제금융회의 "소상공인 등 취약계층 유동성 지원 강화"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이 22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이 22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거시경제 금융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정부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1%에서 –1%대로 사실상 하향 조정했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22일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주재하고 "올해 -1%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부는 지난 17일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면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로 –1.1%를 제시했으나 최근 코로나19 3차 재확산 상황을 반영해 조정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면서도 김 차관은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코로나19 위기 이전 수준에 가장 근접한 국가이자 경제규모 세계 10위 국가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내년도 우리 경제의 성장률도 3.2%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차관은 "글로벌 경제는 코로나19 재확산으로 경제적 피해가 지속되고 있다. 미국의 12월 둘째 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9월 이후 최대치를 경신했고 영국에서는 코로나19 변종 바이러스 확산으로 런던 등의 방역조치가 최고 수준으로 격상되는 등 경제적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코로나19 전개 상황을 비롯해 미국 상무부의 중국 기업 블랙리스트 추가 등 미국·중국 간 갈등, 영국-유럽연합(EU) 간 브렉시트 협상 지연 등 리스크 요인으로 연말·연초에 시장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 차관은 "시중 유동성이 우리 경제의 포용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데 쓰이도록 보다 세심하게 관리할 것"이라며 "코로나19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유동성 지원을 강화하고, 한국판 뉴딜 및 BIG3(미래차·바이오헬스·시스템반도체) 분야 등 미래 성장동력에 대한 민간투자 인센티브를 제고하며 주식 장기보유에 대한 세제지원 방안도 검토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