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시, 도시재생 사업에 박차

현재 34개 사업에 4천150억원 규모

대구시가 도시재생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도시재생은 도시정비를 넘어 기존의 건축물을 보존하면서 기반시설이나 기초생활 인프라를 건설·보수하고, 주민의 역량 강화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사업이다.

국토교통부는 2017년 도시재생 뉴딜 시범 사업으로 대구를 비롯해 전국 68곳을 확정 발표했고, 이후 20년까지 전국 401곳에 사업비를 투입했다. 앞서 정부는 2010년부터 '도시활력증진지역 개발사업' 이름으로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해 왔다.

◆대구를 살리는 도시재생

대구시는 최근 10년간 다양한 유형의 국가공모에 선정된 53개 사업(5천288억원) 중 19개 사업(1천138억원)을 마무리했다. 현재 추진 중인 도시재생사업은 34개 사업에 4천150억원(도시재생 뉴딜 사업 17개, 경제기반형 재생사업 1개, 도시활력 증진지역 개발사업 15개, 취약지역 생활환경 개조사업인 새뜰마을사업 1개) 규모다. 이와 별도로 시 자체 예산으로 추진 중인 사업도 있다.

대구는 28년 연속 1인당 지역내총생산(GRDP)이 전국 17개 시·도 중 최하위에 머무는 등 경제적으로 힘든 상황이다. 일자리 부족에 의한 청년 인구 유출도 적지 않다. 게다가 대구 도시 브랜드를 알릴 만한 정체성도 찾지 못하고 있다는 우려도 크다. 이런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콘셉트의 도시재생 정책이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경제와 문화, 역사에 초점을 둔 도시재생

대구시는 도시재생 사업에서 경제와 역사에 무게를 두고 있다.

우선 경제·일자리, 청년지원, 문화가 함께 하는 도시재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시는 지난해부터 중구 수창동 옛 국세청교육문화관 부지에 '글로벌플라자 및 행복기숙사'를 건립하고 있다. 사학재단과 협업해 22년 준공을 목표로 1천 명의 학생이 머물 수 있는 기숙사,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글로벌플라자 및 청년네트워크 공간을 조성하고 있다.

학생들의 주거비 부담을 완화시키고 청년 거점 공간을 확충하자는 아이디어에서 출발해 국토부 공모 사업으로 선정돼 국비 50억원도 확보했다. 하지만 문화와 청년지원을 경제와 일자리로 이어지는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역사문화자산을 기반으로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 중이다.

지난해 북성로 일원에 지상 49층 규모의 주거복합건물의 신축으로 백조다방, 조일탕, 덕신도료 등 일제강점기 근대건축물이 철거되면서 대구시가 비판을 받기도 했다. 관련 규정이 없는 현실적인 이유도 있지만 역사성을 가진 건축자산을 보호하지 못 했다는 책임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이에 시는 건축자산 조사와 부서 간 협업을 통해 보존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그 일환으로 지난해 말 시비 23억원을 들여 무영당과 대지바를 매입하는 성과를 올렸다.

◆시민 참여형 도시재생 사업

행정이 아닌 시민들이 주도하는 도시재생이 필요한 시대다. 이에 따라 대구시는 시민 역량을 키워 지속성 있는 도시재생 사업이 되도록 공을 들이고 있다. 그 일환으로 주민참여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만들어 운영하고 있다.

경북대와 연계한 석·박사급 인재 15명을 배출할 지역 혁신형 도시재생 전문가 양성 과정이 대표적이다. 지난해부터 진행 중인 이 프로그램은 사회·문화·복지·도시금융 등 도시재생 정책의 패러다임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인재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구 성내동 등지에 도시재생 활동가·단체 등이 활용할 수 있는 다용도 공간을 조성해 시민이 주도하는 지역 맞춤형 도시재생 사업을 뒷받침하고 있다. 일반시민이 참여하는 도시재생 아카데미와 주민참여 도시학교도 진행하고 있다.

김창엽 대구시 도시재창조국장은 "쇠퇴하는 구도심을 지역이 주도해 정주 여건을 개선하고 일자리와 경제성장에 따른 도시 경쟁력 회복이라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중앙이나 지방 정부의 노력에다 시민의 역량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안 된다"며 "시와 시민의 하나된 노력이 '머물고 싶은 도시, 내 아이들에게 물려줄 지속가능한 성장의 도시'대구를 만드는 첫 걸음이 될 것"이라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