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기념물(243-1호)이자 멸종위기종인 독수리가 창녕 우포늪 '독수리식당'에서 허기를 달랜 뒤 날아오르고 있다. 독수리는 맹금류인 검독수리, 흰꼬리수리 등과 달리 죽은 동물 사체만 먹고 산다. 폐기물처리법에 따라 동물 사체를 모두 소각하는 바람에 먹잇감이 줄어 힘겨운 겨울나기를 하고 있다. 김태형 선임기자 thk@imaeil.com
천년기념물(243-1호)이자 멸종위기종인 독수리가 창녕 우포늪 '독수리식당'에서 허기를 달랜 뒤 날아오르고 있다. 김태형 선임기자 thk@imaeil.com
창녕 우포늪 '독수리식당'을 찾아 온 독수리들이 하늘을 선회하고 있다. 김태형 선임기자 thk@imaeil.com
지난달 12일 이인식 우포자연학교장, 곽상수 고령군 우곡면 포2리 이장, '환경과 생명을 지키는 교사모임' 회원들이 창녕 우포늪 생태복원용 논에 독수리식당 간판을 설치하고 있다. 김태형 선임기자 thk@imaeil.com
이인식 우포자연학교장, 곽상수 고령군 우곡면 포2리 이장, '환경과 생명을 지키는 교사모임' 회원과 가족들이 창녕 우포늪 독수리식당에 먹이를 나르고 있다. 독수리 먹이 중 일부는 회원들의 후원금으로 마련하고 있다. 김태형 선임기자 thk@imaeil.com
창녕 우포늪 독수리식당에서 먹이를 먹고 휴식중인 독수리들. 대부분 1~2년생으로, 겨울을 난 뒤 3월쯤 몽골로 돌아간다. 김태형 선임기자 thk@imaeil.com
대구권 독수리 최대 월동지인 고령군 개진면 낙동강 변. 독수리 휴식처였던 강 둔치 감자밭이 4대강 사업이후 풀밭으로 변했다. 강 둔치 일부를 독수리 먹이터로 조성해 도동서원, 개경포 등과 어우러진 역사생태체험장으로 거듭나야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김태형 선임기자 thk@imaeil.com
고령군 개진면 개경포기념공원에 들어선 팔만대장경 이운 행렬 조형물. 개경포는 팔만대장경판을 실은 배가 강화도에서 서해, 남해를 지나 낙동강을 거슬러 도착한 곳으로, 이 일대가 고령 독수리 월동지다. 김태형 선임기자 thk@imaeil.com
4대강 사업 전인 지난 2008년, 개진들 앞 낙동강 변 감자밭에 내려 앉아 휴식중인 독수리. 김태형 선임기자 thk@imaeil.com
4대강 사업 전인 지난 2008년, 고령군 개진들판을 찾아 월동중인 독수리. 김태형 선임기자 th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