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올 설은 간소한 '종가 차례상'으로…국학진흥원 "과감한 문화 개선을"

주자가례 설 차례상, 술 한잔·차 한잔·과일 한 쟁반 올려
퇴계 종가 5가지 음식, 일반가정은 25~30가지 음식

경북 안동 퇴계 이황종가의 설차례상 모습. 한국국학진흥원 제공
경북 안동 퇴계 이황종가의 설차례상 모습. 한국국학진흥원 제공

한국국학진흥원은 올 설에는 온 가족이 함께 모여 차례를 지내기 어려운 만큼 차례음식 을 간소화 하는 등 과감한 차례문화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2일 국학진흥원은 이번 설에는 5인이상 모임금지, 온라인 성묘 등 사회적거리두기 연장으로 객지에 나갔던 가족이 모여 세배를 하기 힘들 것으로 판단해 차례 음식도 크게 줄일 것을 제안했다.

국학진흥원이 2017년부터 제례문화의 현대화 사업을 추진하면서 '예서'(禮書)와 종가, 일반가정의 설 차례상 음식을 조사한 결과, 일반가정의 차례음식이 예서나 종가에 비해 평균 5~6배 가량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례문화 지침서인 '주자가례'에 따르면 설 차례상에는 술 한 잔과 차 한 잔, 과일 한 쟁반을 차리고, 술도 한 번만 올리며 축문도 읽지 않는다.

일반 가정의 설차례상 모습. 한국국학진흥원 제공
일반 가정의 설차례상 모습. 한국국학진흥원 제공

종가의 설 차례상 역시 '주자가례'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경북 안동에 있는 퇴계 이황종가는 술, 떡국, 포·전 각 한 접시, 과일 한 쟁반 등 5가지 음식을 차린다. 과일 쟁반에는 대추 3개와 밤 5개, 배·감·사과·귤 각각 1개씩 담았다. '주자가례'에 비해 차가 생략됐고, 그 대신 떡국과 전, 북어포를 추가했다.

하지만 일반가정의 차례상에는 25~30가지 음식을 올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과일도 종류별로 별도의 제기에 각각 담았으며, 어류와 육류, 삼색 채소, 각종 유과 등이 추가됐다.

'주자가례'의 설차례상. 한국국학진흥원 제공

한국국학진흥원 관계자는 "원래 간소하게 장만했던 차례 음식이 경제적 여유가 생기고 유통구조가 발달함에 따라 점차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면서 "올해 설을 계기로 차례상의 원래 모습을 되찾았으면 좋겠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