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일파' 학자로 통하는 존 마크 램자이어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가 일본군 위안부는 성노예가 아니라 일본군과 계약을 맺고 매춘을 한 것이라 주장해 논란이 된 가운데 호사카 유지 세종대 교수가 고 밝혔다.
호사카 교수는 2일 YTN 황보선의 출발 새아침에 출연해 이같이 밝혔다.
호사카 교수는 램자이어 교수에 대해 "유년기나 청소년기까지 일본에서 자랐기 때문에 사실 일본 문화의 영향을 엄청나게 많이 받았고 일본말도 유창한 친일파로 알려져 있다"며 "이 사람이 어떻게, 왜 이런 논문을 썼는지 즉각 인터뷰를 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그는 "예를 들어 일본의 여성 극우 단체 중에 '베를린 모델' 소녀상을 엄청나게 반대하고 있는 사람들이 있어요. 그런 단체와 관련이 있는지 (알아봐야 한다)"며 "일본 쪽에서는 특히 베를린 소녀상을 설치하는 걸 의회가 결정했지 않습니까. 거기에 대한 조치로 이러한 논문을 쓰려한 게 아닌가하는 의심을 지울 수 없다"고 추측했다.
램자이어 교수는 오는 3월 출간되는 법·경제 관련 학술지인 「인터내셔널 리뷰 오브 로 앤드이코노믹스」(International Review of Law and Economics) 의 제65권에 '태평양전쟁 당시 성(性)계약'(Contracting for sex in the Pacific War)이라는 제목으로 논문을 투고했다.
램자이어 교수는 논문에서 일본군 위안부 여성들과 일본군은 당시 서로의 이익을 위해 계약을 맺은 것이고, 위안부 여성들은 성매매를 강요당한 성노예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그는 위안부가 강제가 아니라는 증거로 ▷당시 일본 내무성이 '일본군 위안부'를 모집할 때 기존에 매춘부로 일하던 여성만을 고용하도록 한 점 ▷소관 경찰에 대해서는 자신의 의지로 '일본군 위안부'에 지원한 것인지 본인의 의사를 직접 묻도록 한 점 ▷계약이 끝나면 즉시 귀국해야 한다고 말해 주도록 지시한 점 등을 근거로 들었다.
그는 여성을 속여 매춘업소에 일하도록 한 조선 내 모집업자가 문제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일본 정부와 조선총독부가 여성에게 매춘을 강제하거나 일본군이 부정한 모집 업자들에게 협력한 것은 사실이 아니라고도 주장했다.
또 모집 업자의 꾐에 넘어간 피해자들은 극히 일부라고 했다.
'지일파'로 통하는 램자이어 교수는 하버드대에서 주로 일본법을 연구하고 있으며 '일본 인권 선진화' 등을 강의하고 있다.
1954년 미국 시카고에서 태어나자마자 일본 미야자키현으로 이주해 18세까지 살았다. 그는 대학 홈페이지를 통해 '어린시절 대부분을 일본에서 보냈고, 대학원에서 일본사를 공부했다'며 '도쿄대학에서 장학금을 받았고, 일본 여러 대학에서 강의를 했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