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속보] 정의용 "북한과 원전 거론 안 했다. USB는 미국에도 줬다"

정의용 외교부 장관 후보자가 2일 오후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 인근 사무실 로비에서
정의용 외교부 장관 후보자가 2일 오후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 인근 사무실 로비에서 '북한 원전 추진 의혹'과 관련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정의용 외교부 장관 후보자가 최근 논란이 된 정부의 북한 원전 건설 추진 의혹과 관련해 2일 기자들에게 해명했다.

그는 해당 의혹이 제기된 문건이 작성된 시기에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으로 일했다.

정의용 후보자는 이날 서울시 종로구 외교부 청사 인근에게 취재진에 "현재 상황에서 그 어떤 나라도 북한에 원전을 제공할 수 없다. 우리도 정부 차원에서 북한에 대한 원전 제공 문제를 내부적으로 검토도 안 했다"고 강조했다.

정의용 후보자는 해당 문건이 USB(이동식저장장치)에 담겨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전해졌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잘라 말했다.

그는 2018년 4월 27일 1차 남북정상회담 때 문재인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건넨 USB에 에너지와 전력 분야를 포함한 '한반도 신경제 구상'이 담겼다고 설명했다. 그 내용에 대해 정의용 후보자는 "신재생에너지 협력, 낙후 북한 수력 및 화력 발전소 재보수, 몽골을 포함한 동북아시아 지역 수퍼그리드망 확충 등 아주 대략적 내용이 포함됐다. 원전은 전혀 포함이 안 됐다"고 밝혔다.

해당 USB는 미국(당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도 전해졌다고 정의용 후보자는 밝혔다. 그는 "미국에도 북한에 제공한 것과 동일한 내용의 USB를 제공했다. 신한반도경제구상의 취지가 무엇인지 설명했다"고 했다. 이어 "미국이 충분히 수긍했고, 미국이 굉장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덧붙였다.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작성한 해당 문건은 어제인 1일 전문이 공개되기도 했다.

'북한지역 원전건설 추진방안'이라는 제목의 문건에서는 과거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가 경수로를 건설하려고 했던 장소에 원전을 짓는 방안, 비무장지대(DMZ)에 원전을 짓는 방안, 북한에 원전을 건설해 주는 게 아니라 완공한 신한울 3·4호기에서 북한으로 전기를 보내는(송전, 送電) 방안 등이 거론됐다.

산자부는 이 문건에 대해 "제1차 남북정상회담 이후 향후 남북 경협이 활성화될 경우를 대비해 아이디어 차원에서 검토한 자료"라며 "추가 검토나 외부에 공개된 적 없이 그대로 종결됐다"고 설명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