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 대부분이 양호한 미국의 경제 지표와 기업 실적 등에 3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3일(미국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6.12포인트(0.12%) 오른 30,723.60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3.86포인트(0.1%) 상승한 3,830.17에 거래를 마쳤지만,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23포인트(0.02%) 하락한 13,610.54에 장을 마감했다.
전반적으로 시장의 변동성이 제한됐지만, 장 막판 주요 지수가 비교적 빠르게 반락하며 나스닥은 결국 소폭 하락 마감했다.
진정 국면에 접어든 개인투자자 열풍 현상과 기업 실적 및 미국 부양책 관련 소식 등에 시장이 움직였다.
온라인 커뮤니티 레딧을 중심으로 집결한 개인투자자 돌풍이 잠잠해지면서 일부 종목의 과도한 변동성에 대한 우려가 해소됐다.
게임스톱 등 폭등했었던 기업 주가가 이번주에 상승분을 상당폭 반납했다. 게임스톱은 이날 반등했지만 상승폭이 2.7%에 그쳤다.
주요 기업 실적이 예상치를 뛰어넘은 것도 증시 상승에 힘을 실었다.
구글의 모기업 알파벳은 7.3% 급등했다. 전날 장 마감 이후 내놓은 실적이 예상을 크게 웃돈 덕분이다.
아마존도 호실적을 내놨지만 변동성끝에 2% 하락마감했다. 아마존을 일궈낸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가 올 3분기 최고경영자(CEO)에서 물러난다고 밝힌 영향으로 보인다.
미국의 신규 부양책에 대한 기대도 여전하다.
공화당 일부 의원들이 부양책 규모를 6천억 달러로 줄일 것을 제안했지만, 조 바이든 대통령은 당초 제시한 1조9천억 달러 방안을 지속 추진할 것으로 알려졌다.
부양책의 규모나 도입 시기 등에 대한 불확실성은 여전하지만, 결국 추가 조치가 나올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재닛 옐런 재무장관은 의회의 조치가 절실한 상황이라며 부양책의 조속한 처리를 촉구했다.
지표 호재도 있었다. 지난달 민간 고용은 17만4천명 증가해 예상치 5만명보다 3배 이상 늘었다.
공급관리협회(ISM)의 서비스 구매관리자지수(PMI)는 약 2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이날 업종별로는 커뮤니케이션이 약 2.1% 올랐지만, 기술주는 0.3% 떨어졌다. 에너지는 4.3% 급등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