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월성원전 삼중수소’ 민관조사단, '멸치 1g' 정용훈 교수 합류에 '시끌'

출발부터 위원 자격 공정성 논란…위원 1명 사퇴의사 밝히기도
향후 어떤 결과 나오더라도 신뢰성에 적잖은 잡음 우려

경주시 월성원전·방폐장 민간환경감시기구가 2일 공개한 민관합동조사단 위원 명단.
경주시 월성원전·방폐장 민간환경감시기구가 2일 공개한 민관합동조사단 위원 명단.

경북 경주 월성원전 부지 내 삼중수소 검출 논란과 관련, 안전성 검증을 위해 최근 출범한 민관합동조사단이 위원 구성에 공정성 논란이 불거지는 등 출발부터 삐걱거리고 있다.

경주시 월성원전·방폐장 민간환경감시기구(이하 민간환경감시기구)는 지난 2일 ▷감시기구(8명) ▷시의원(2명) ▷경주시 공무원(1명) ▷시민단체(3명) ▷전문가(6명) ▷주민대표(5명) 등 25명으로 조사단을 구성해 착수회의를 열었다.

위원엔 조사단에서 제외될 것으로 예상됐던 정용훈 카이스트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교수가 포함됐다. 정 교수는 월성원전 인근 주민 삼중수소 피폭량이 연간 멸치 1g 수준이라는 취지의 발언을 한 바 있다. 애초 민간환경감시기구는 조사의 객관성을 위해 정 교수를 조사단에서 제외하기로 했다.

당시 시민단체 측 위원으로 회의에 참석했던 정현걸 경주환경운동연합 상임의장은 "조사단 출범 전 열린 민간환경감시기구 운영위원회 회의에서 정 교수를 조사단 위원에서 제외하기로 이미 합의된 상황이었다"며 "그런데 감시기구가 착수회의 하루 전날(2월 1일) 임시회의를 열어 정 교수를 위원에 포함시켰다"고 주장했다.

정현걸 위원은 이에 반발해 현재 조사단 사퇴 의사를 밝힌 상태다. 정 위원은 4일 통화에서 "정 교수가 전문가 자격으로 조사단에 참여하는 한 절대 조사단에 합류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경주환경운동연합 등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탈핵경주시민공동행동도 3일 입장문을 내고 민간환경감시기구가 주도하는 조사에 대해 공식적으로 반대의사를 밝혔다.

이들은 ▷조사단 구성이 지역 인사의 경우 친원전 인사가 태반이라는 점 ▷그간 친원전 행정을 펼쳤던 경주시장이 위원장이고 한수원 측 인사가 포함된 민간환경감시기구가 꾸린 조사단인 점 ▷조사단에 규제권한이 전혀 없다는 점 등을 이유로 들었다.

이상홍 탈핵경주시민공동행동 집행위원장은 "민간환경감시기구는 앞서 '향후 조사단 조사결과를 한수원이 신의성실 원칙에 따라 이행하도록 조사단 규약에 명시했다'고 밝혔으나, 이는 바꿔 말하면 아무런 규제 권한이 없다는 것"이라며 "문제가 있을 때 규제할 수 있는 정부 차원의 조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지역 인사도 "위원 구성부터 논란이 발생한 만큼 향후 조사단이 어떤 결과물을 내더라도 신뢰성에 적잖은 잡음이 일 것으로 우려된다"고 했다.

이에 대해 민간환경감시기구 관계자는 "정용훈 교수를 위원으로 위촉하는 부분이 논란이 되다보니 지난달 21일 감시기구 운영위원회가 의결한 '조사단 구성안'에서 원자력분야 전문가 1명이 정해지지 않은 상태로 올라왔다. 그래서 지난 1일 감시기구 위원 전체가 참가한 임시회의에서 (정용훈 교수를 위원으로 위촉하는 데) 이견이 없어 조사단 구성안을 최종 확정하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