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50년 미국 정치사에서 탄핵 문턱에 선 대통령은 모두 4명이다. 앤드루 존슨(1868년), 리처드 닉슨(1974년), 빌 클린턴(1998년), 도널드 트럼프(2019·2021년)다. 닉슨은 탄핵 소추 직전 사임했고, 트럼프는 두 번씩 탄핵 소추되는 불명예를 안았다. 하원에서 가결한 탄핵 소추안이 상원을 통과한 사례는 아직 한번도 없다.
미국 상원은 13일 트럼프 전 대통령의 내란 선동 혐의에 대한 탄핵 심판 표결에서 탄핵안을 부결했다. 상원 의석 100석 중 3분의 2 이상인 67표에 10표가 모자랐다. 트럼프는 지난 1월 6일 백악관 앞 연설에서 지지자들을 선동해 연방 의사당 난입 사태를 야기한 혐의로 탄핵 소추됐다. 앞서 2019년에도 '우크라이나 스캔들'로 탄핵 소추됐으나 공화당의 엄호로 위기를 비껴갔다.
트럼프의 이런 정치적 위기는 자초한 일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워싱턴의 이단아'라는 별칭답게 재임 내내 좌충우돌했다. 야당·언론과의 반목에다 유색인종 차별, 미국 우선주의에 따른 국제사회와의 갈등으로 조용한 날이 없었다. 이런 분란에 불씨가 된 것은 시도 때도 없는 그의 '트위터'였다. 무분별한 그의 'SNS 정치'는 역효과를 불렀고 두 번의 탄핵 소추와도 무관하지 않다는 반응이다.
SNS 때문에 곤란한 처지가 된 사례는 우리 주변에서도 드물지 않다. 얼마 전 한 온라인 커뮤니티 회원의 '경기도 7급 공무원 합격 인증샷'과 과거 커뮤니티 게시판에 쓴 장애인 비하와 성 매수에 관한 글들이 크게 사회적 이슈가 됐는데 여론이 악화하면서 청와대 국민청원에 오르기도 했다. '일베' 논란에 휩싸인 문제의 이 합격자는 결국 공무원 신규 임용 후보 자격 취소에다 각종 범죄 혐의로 수사 선상에 올랐다. 무분별한 SNS 행각이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지를 보여준 좋은 사례다.
최근 국내 몇몇 프로배구 선수들의 '학폭' 소동도 SNS가 화를 키운 경우다. 앞뒤 가리지 않는 SNS 사용이 과거 학창 시절 학교폭력 피해자의 분노를 사면서 결국 제 발등을 찍은 꼴이 됐다. 물론 일부의 사례이나 'SNS는 인생의 낭비'라는 소리가 심심찮게 나오는 것도 그만한 이유가 있어서다. 콩 심은 데 콩 나는 게 이치다. 하지만 잡초도 따라온다는 사실도 부인하기 어렵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