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됐더라도 긴장 끈 놓지 말아야

코로나19 감염병 확산을 막기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15일부로 완화됐다. 서울 등 수도권 지역은 기존 2.5단계에서 2단계로, 대구경북 등 전국의 비수도권 지역은 2단계에서 1.5단계로 0.5단계씩 낮춰졌다. 이에 따라 다중이용시설의 영업 제한이 대폭 풀리게 됐으며 지난 수개월 동안 한계 상황에 몰린 자영업자들과 소상공인들의 숨통도 어느 정도 트일 것으로 기대된다.

사실, 지난해 11월 중순 코로나19 제3차 대유행 이후 이어진 각종 영업 규제와 집합 금지로 국민 피로도가 극심해지고 있으며 경제적 고통도 임계 상황을 맞은 지 꽤 됐다. 방역 못지않게 경제도 중요한 가치인데 정부로서도 기존의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무작정 끌고 갈 수 없는 상황이었다. 결국 설 연휴가 지나고 백신 접종 국내 개시를 앞둔 시점에서 방역과 경제, 두 마리 토끼 사이의 절충점을 택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에 따른 우려감도 상존한다. 14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326명으로 전일 대비 36명 줄었고 검진자 수 대비 양성률도 1.32%로 0.33%p 낮아졌지만, 설 연휴 기간 동안 검사 건수의 일시적 감소를 감안하면 확산세가 꺾였다고 섣불리 판단할 수 없다. 최근 1주일 통계를 보더라도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하루 288~504명 사이 등락을 보였으며 지역사회 집단감염 및 n차 감염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번의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가 국민들에게 잘못된 신호로 읽히는 결과로 이어져서는 안 된다. 안 그래도 설 연휴 기간 동안 전국 곳곳의 행락지 등에 인파가 몰렸는데 이번 완화 조치 이후 사람들의 바깥 활동이 더 촉발되고, 설 명절 민족 대이동에 따른 확진자 급증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정부는 더 이상 우왕좌왕해서는 안 되며 사회적 거리두기를 완화한 만큼 더 철두철미하게 방역에 임해야 한다. 국민들도 다중이용시설 영업시간 제한이 완화되거나 풀렸다고 해서 긴장의 끈을 놓아서는 안 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