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재명, 쌍용차 협력 업체에 '50억원' 특례 보증 추진

유동성 자금 부족으로 벼랑 끝 위기에 내몰린 쌍용자동차가 일부 협력업체의 부품 납품 중단으로 결국 또다시 공장 가동을 멈추게 됐다. 쌍용차는 3∼5일 평택공장의 가동을 중단한다고 지난 2일 공시했다. 사진은 3일 오후 경기도 평택시 쌍용자동차 평택공장 정문. 연합뉴스
유동성 자금 부족으로 벼랑 끝 위기에 내몰린 쌍용자동차가 일부 협력업체의 부품 납품 중단으로 결국 또다시 공장 가동을 멈추게 됐다. 쌍용차는 3∼5일 평택공장의 가동을 중단한다고 지난 2일 공시했다. 사진은 3일 오후 경기도 평택시 쌍용자동차 평택공장 정문. 연합뉴스

경기도는 쌍용자동차가 회생방안을 마련하는 동안, 쌍용차 협력 중소기업들의 자금 유동성 위기 극복을 돕기 위해 총 50억원 규모 특례보증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경기도는 지난 17일 도의회와 함께 이 같은 내용의 '신용보증기금 출연동의안'을 긴급 통과시켰다. 보증사업의 경우 통상 10배수를 보증한도액으로 설정한다는 점을 볼 때 실질적인 지원 규모는 500억 원에 달하는 셈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쌍용차 문제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사안인 만큼, 이를 핵심 해결과제로 설정해 선제적인 지원책을 펼치겠다는 것"이고 설명했다.

쌍용차는 본사와 완성차 제조공장 모두 경기도에 소재한 핵심 자동차기업 중 하나로, 1차 협력기업 중 약 30%인 71개사가 도내에 있고 2만6천명에 달하는 노동자가 이들 기업에 근무 중이다.

또한 전속거래 기업이 경기·인천지역에 38%(24개사)에 달해 만약 쌍용차가 공장폐쇄나 생산중단을 맞을 경우, 1만2천700명의 일자리와 1조3천419억 원의 부가가치 생산액이 감소할 것으로 산업부는 추정하고 있다.

쌍용차는 지난해 말 법정관리를 신청했으나, 최근 미국 HAAH(미국 자동차 유통기업)의 2천800억 원의 신규 투자를 전제로 하는 회생방안을 마련·추진하는 등 돌파구 마련에 주력하고 있다.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지난 2018년 10월 복직 결정을 내린 쌍용차에 대해 "쌍용차 문제는 경기도의 해결과제"라며 "쌍용차 경영 정상화를 위해 도 차원의 지원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라는 뜻을 밝힌 바 있다.

도는 이번 출연동의안 통과를 시작으로 오는 4월 추경예산편성을 위한 도의회 임시회를 거쳐 해당 기금을 출연할 예정이다. 이후 5월부터 본격적인 특례보증 지원에 들어갈 계획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