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2·4 대책의 역설?…대·대·경(대구·대전·경기도) 아파트값 더 올랐다

서울은 0.08%로 상승폭 둔화

정부의
정부의 '2.4주택공급 확대방안' 발표에도 대·대·경(대구 '대전'경기도) 지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상승보폭을 키우며 고공행진 중이다. 대구 수성구 일대 아파트 단지. 매일신문 DB
'2021년 2월 3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정부의 2·4 부동산대책 발표 이후에도 대·대·경(대구·대전·경기도) 아파트값 상승세가 계속되고 있다.

서울이 0.08% 상승해 전주대비 0.01%p 하락하는 틈을 타 이들 지역 아파트가격은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18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1년 2월 3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보면 대구와 경기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와 비교해 0.42%가 상승했다. 전국 시도 가운데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특히 대구는 정부의 2·4 부동산대책 발표 이후 상승 폭(0.40%→ 0.42%)이 오히려 확대됐다. 수성구는 0.53%가 상승해 올해 들어 0.5%대 상승률을 유지했고 동구(0.49%)와 서구(0.45%) 등도 상승 폭이 컸다.

엑스코선 개발과 서대구 KTX, 시청 신청사 호재 등이 상승세를 견인하고 있다는 것이 한국부동산원의 분석이다.

부산 아파트 가격 상승세도 지난해 6월 15일 이후 36주 연속 지속했다. 지역별로는 남구 0.53%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고 동래구 0.34%, 해운대구 0.32%, 연제구 0.31% 등이 뒤를 이었다. 중구(0%), 동구(0%), 서구(0.09%), 영도구(0.10%) 등 원도심 지역은 안정세를 보였다.

대전 역시 0.39% 상승해 전국 평균에 비해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송원배 대구경북부동산분석학회 이사는 "대구와 경기 지역의 아파트값 상승세는 여전히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수요가 높고 2·4부동산대책 효과에 대한 기대감이 크지 않다는 것을 반영하고 있다. 아파트 공급량과 정부의 추가 대책 등에 따라 유동성이 있지만 당분간 아파트값 강세는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라고 밝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