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집합금지·영업제한 업종, 행복페이 수수료 반환

지원대상 가맹점 6만여곳, 연간 35억원 지원효과 기대
3월 '착한선결제' 캠페인, 100명 추첨해 대구행복페이 3만원 증정

대구행복페이 카드. 연합뉴스
대구행복페이 카드. 연합뉴스

대구시가 집합금지·영업제한 업종에 올해 대구행복페이 카드수수료 전액 지원을 확정했다. 3월에는 '착한선결제' 캠페인도 진행해 소상공인 지원에 앞장선다.

카드수수료 환급 대상은 대구행복페이 가맹점 중 식당‧카페, 실내체육시설, 학원 등 모든 집합금지‧영업제한 업종이다. 이들 업종은 올 한해 동안 연매출 기준 제한 없이 대구행복페이 매출로 발생한 카드수수료를 전액 돌려받는다. 익월 말일 가맹점 카드대금 결제계좌로 자동 환급되는 방식이다.

지원 가맹점은 총 6만여 개로 이들 업종은 지난해 대구행복페이 사용실적 중 38.8%를 차지했다. 지원금액은 모두 35억원 선이 될 전망이다.

이미 대구행복페이 카드수수료 전액을 지원받던 연매출 10억원 이하 가맹점들도 업종이나 피해사실과 무관하게 동일한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대구시는 대구시민을 대상으로 '착한 선결제' 인증 이벤트도 실시한다. 자주 이용하는 음식점, 카페 등에서 먼저 결제하고 재방문을 약속해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을 덜어주자는 캠페인이다.

참가자는 식당‧카페, 실내체육시설, 학원 등 매장을 방문해 매장 사진과 결제 영수증 등 선결제 참여 인증샷을 찍어 해시태그(#대구행복페이#착한선결제)와 함께 자신의 인스타그램이나 페이스북에 올리면 응모된다. 이벤트는 3월 한 달 동안 지속되며 추첨을 통해 100명에게 대구행복페이 3만원을 증정한다.

특히 소상공인들은 대구행복페이 전용 앱(IM샵) 내 샵 개설로 연락처, 채팅, 길찾기, 공유, 사진등록, 쿠폰발행 등 제공 기능을 통해 가맹점을 무료로 홍보할 수 있다.

앞서 대구시가 지난해 처음 도입한 대구행복페이 3천억원은 4개월만에 조기 매진됐다. 올해는 1조원까지 확대 발행할 계획이다. 시는 지난해 5월 대구행복페이 이용 활성화를 위해 교육청, 8개 구‧군, 공사‧공단, 출자출연기관, 이전공공기관 등 지역 내 38개 유관기관과 MOU를 체결했다. 올해도 DGB대구은행(10억원), 대구도시철도공사(2억6천만원) 등이 대구행복페이 구매를 통해 지역상생을 실천하고 있다.

홍의락 대구시 경제부시장은 "대구행복페이는 올해 연초부터 설 연휴까지 6주만에 1천400억원이 판매될 만큼 시민들로부터 호응이 높다"며 "지역 소상공인들의 카드수수료 부담을 줄이고 매출 증대에 도움이 돼 지역경제에 활력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