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학년도 대입에서 여러 부분이 달라지는 가운데 자연계열 상위권 학생들에게 가장 큰 이슈가 될 만한 변화는 약학대학이 신입생을 선발한다는 점이다. 전국 37개 약학대학은 그동안 '2+4 체제'로 불리는 '학부 2년+약학전문대학원 4년' 체제였지만 이번부터는 대부분 대학이 '6년제 학부'로 바꿔 운영한다. 이번 약대 선발의 특징들에 대해 살펴봤다.
-약대에 가려면 수능시험 위주인 정시보다는 수시를 준비해야 하나
▶현재까지 6년제 학부로 전환하는 약학대학은 33곳. 이들 대학의 2022학년도 모집인원은 총 1천553명(이하 정원 내 기준)이다. 이 중 수시로 선발하는 인원은 841명(54.2%)로 절반 이상이다.
하지만 수시 미등록 인원을 고려하면 수시와 정시 선발 비율의 격차는 줄어들 전망이다. 게다가 다수 대학의 수시 전형이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비교적 높이 설정하고 있다. 수시를 준비하더라도 수능시험에 대한 대비가 소홀해선 안된다는 의미다.
-선발인원이 많은 학생부교과전형에 초점을 맞추는 게 나을까
▶수시에서 가장 많은 인원을 선발하는 전형은 학생부교과전형으로 411명을 뽑는다. 하지만 이 중 163명은 지역인재전형 선발인원이다. 따라서 출신 지역에 따른 지원 자격 제한을 두지 않는 전형 중 가장 많은 인원을 선발하는 유형은 학생부종합전형이다.
학생부종합전형은 총 선발인원 376명 중 58명만 지역인재전형으로 선발한다. 경희대 등 6개 대학은 논술전형으로도 선발하는데 모집인원은 모두 54명뿐이다.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없는 대학도 있나
▶학생부교과전형 중에서는 동국대 학교장추천인재, 연세대 학생부교과추천형 등 단 두개 전형만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설정하지 않는다. 학생부종합전형에서도 이 기준을 설정한 대학이 더 많다. 다만 경상대, 덕성여대, 동국대 등 10개 대학의 학생부종합전형 중 일부 전형에서는 이 기준을 두지 않는다. 논술전형으로는 연세대만 이 기준 없이 학생을 선발한다.
-'약학과'와 '제약학과'의 차이는 무엇인가
▶계명대와 충북대는 약학과와 제약학과를 구분해 학생을 선발한다. 수험생들로선 어떤 학과에 지원해야 할지 혼란스러울 수 있다. 하지만 두 학과는 큰 차이가 없다. 거의 같은 교과목이 개설돼 있는 데다 두 학과 모두 약사면허를 취득할 수 있는 자격이 생기고, 졸업 후 진로도 그리 다르지 않다.
-정시 선발인원이 많은 대학은 어디인가
▶정시 선발인원이 가장 많은 대학은 이화여대다. 나군에서 약학전공 70명과 미래산업약학전공 20명 등 모두 90명을 선발한다. 또 중앙대 70명, 성균관대 30명 등 서울권 대학의 선발인원이 많은 편이다. 반면 경북대(5명), 고려대(세종·9명), 전북대(9명)는 정시에서 신입생을 한 자릿수만 선발한다.
도움말=진학사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