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뉴욕증시, 美 금리상승에 혼조세 마감…S&P, 3주 만에 첫 주간 하락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의 입회장에서 트레이더들이 업무에 임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의 입회장에서 트레이더들이 업무에 임하고 있다. 연합뉴스

뉴욕증시 주요 지수가 미국 국채금리 상승 등의 영향으로 변동성을 보인 끝에 혼조세로 마감했다.

19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0.98포인트(0.0%) 상승한 31,494.32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7.26포인트(0.19%) 하락한 3,906.71에 장을 마쳤지만,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9.11포인트(0.07%) 상승한 13,874.46에 장을 마감했다.

주간으로 다우 0.1% 올랐고 S&P500과 나스닥은 각각 0.7%, 1.6% 내렸다. S&P500과 나스닥은 3주 만에 처음으로 주간 하락했다.

증시는 미 금리 동향과 부양책, 주요 경제 지표 등을 주시했다.

주요 지수는 장 초반에는 비교적 강한 상승세를 나타냈다.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이 대규모 부양책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면서 위험자산 투자 심리를 지지했다.

옐런 장관은 "(미국인의)고통을 해소하기 위해 큰 패키지를 추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라면서 "너무 적게 하는 것이 너무 많이 하는 것보다 훨씬 더 대가가 클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은 하원에서 다음 주 말까지 1조9천억 달러 부양법안을 통과시킬 계획이다.

여기에 조 바이든 대통령이 이번 부양책 마련 이후에는 3조 달러 규모의 인프라 투자 법안을 추진할 수 있다는 보도도 나왔다.

하지만 장중 미 국채 10년물 금리가 상승세를 보이며 주요 지수도 반락했다.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이날 장중 1.363%까지 치솟아 지난해 2월 26일 이후 최고를 기록했다.

금리의 빠른 상승은 고성장 기술기업에 위험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큰 상황이다.

양호한 실적을 발표한 기업들은 상승세를 보였다.

반도체 장비업체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는 시장 예상을 웃도는 순익을 기록하면서 주가가 5.3% 이상 올랐다. 농기계 제조업체 디어도 호실적을 바탕으로 주가가 10%가량 상승했다.

업종별로는 커뮤니케이션이 1.07% 내리며 부진했고, 기술주도 0.15% 하락했다. 금융주는 1.16% 올랐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