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주요 지수가 미국 국채금리 상승 등의 영향으로 변동성을 보인 끝에 혼조세로 마감했다.
19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0.98포인트(0.0%) 상승한 31,494.32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7.26포인트(0.19%) 하락한 3,906.71에 장을 마쳤지만,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9.11포인트(0.07%) 상승한 13,874.46에 장을 마감했다.
주간으로 다우 0.1% 올랐고 S&P500과 나스닥은 각각 0.7%, 1.6% 내렸다. S&P500과 나스닥은 3주 만에 처음으로 주간 하락했다.
증시는 미 금리 동향과 부양책, 주요 경제 지표 등을 주시했다.
주요 지수는 장 초반에는 비교적 강한 상승세를 나타냈다.
재닛 옐런 미국 재무장관이 대규모 부양책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면서 위험자산 투자 심리를 지지했다.
옐런 장관은 "(미국인의)고통을 해소하기 위해 큰 패키지를 추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라면서 "너무 적게 하는 것이 너무 많이 하는 것보다 훨씬 더 대가가 클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은 하원에서 다음 주 말까지 1조9천억 달러 부양법안을 통과시킬 계획이다.
여기에 조 바이든 대통령이 이번 부양책 마련 이후에는 3조 달러 규모의 인프라 투자 법안을 추진할 수 있다는 보도도 나왔다.
하지만 장중 미 국채 10년물 금리가 상승세를 보이며 주요 지수도 반락했다.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이날 장중 1.363%까지 치솟아 지난해 2월 26일 이후 최고를 기록했다.
금리의 빠른 상승은 고성장 기술기업에 위험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큰 상황이다.
양호한 실적을 발표한 기업들은 상승세를 보였다.
반도체 장비업체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는 시장 예상을 웃도는 순익을 기록하면서 주가가 5.3% 이상 올랐다. 농기계 제조업체 디어도 호실적을 바탕으로 주가가 10%가량 상승했다.
업종별로는 커뮤니케이션이 1.07% 내리며 부진했고, 기술주도 0.15% 하락했다. 금융주는 1.16% 올랐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