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제2차 사회적경제 종합발전계획 수립

사회적경제 촉진 10대 핵심과제 추진
공공 플랫폼 구축 통한사회적경제 활성화·플랫폼 종사자 사회적경제 유입 등

대구시의
대구시의 '제2차 사회적경제 종합발전계획' 개요. 대구시 제공

대구시와 사회적경제지원센터는 '제2차 사회적경제 종합발전계획'을 수립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계획의 골자는 사회적경제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와 사회안전망 강화'를 목표로, 5년간 약 1천500억 원을 투입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지역경제의 선순환 환경 마련 ▷지역사회 개발 ▷사회적경제의 지속가능성 제고라는 3가지 전략을 중심으로 10대 핵심과제를 추진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10대 핵심과제 중 가장 눈여겨볼 부분은 온라인 공공 플랫폼을 연내에 구축해 지역 생산제품과 사회적경제 기업제품을 등록한 뒤, 지역 내 1천여 공공기관이 수의계약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내용이다. 사회적경제 기업을 3천억 원 규모에 달하는 지역 공공기관 수의계약 시장에 연결함으로써 지역 공공시장을 활성화시키고 추후 발생하는 수익금을 사회적경제 기업과 지역기업의 경쟁력을 강화를 위해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대구시는 최근 급증하고 있는 배달원, 대리운전 기사 등 플랫폼 종사자를 협동조합 등 사회적경제 조직으로 유입시킬 예정이다. 불안정한 고용환경에 노출된 이들을 고용보험이나 산재보험 등 사회안전망의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대구시는 지난해 선보인 '대구조합퀵협동조합'이 건당 20%였던 수수료를 10%로 낮추고, 단체 상해보험 가입 등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사회적금융 활성화와 사회적경제 기금 조성을 위해 연내 사회적금융 중개기관도 구성할 계획이다. 중개기관은 당사자 조직의 자조기금과 대출·투자기금 등을 바탕으로 구성되며 5년간 100억 원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사회적경제는 특히 코로나 이후 더 심화된 경기침체와 일자리 부족, 불평등 등 지역사회가 직면한 많은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할 것"이라며 "앞으로 경쟁력 있는 사회적경제기업이 창업 및 성장할 수 있는 생태계 조성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