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주호영 "신현수 민정, 文대통령에 투항한 건가"

"권력 폭주하니 측근 반란 일으켜"…이종배 "유야무야 넘겨서는 안돼"
'민정수석의 난'이라고 규정한 목소리도 나와

국민의힘 주호영 원내대표가 23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주호영 원내대표가 23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은 23일 신현수 청와대 민정수석의 업무 복귀와 관련, "대통령의 리더십이 크게 손상됐다"며 대대적 공세에 나섰다.

주호영 원내대표(대구 수성갑)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신 수석을 향해 "박범계 장관의 요구대로 '우리 편'에 서기로 해서 투항한 것은 아닌지 대단히 의아스럽다"며 "사퇴 파동으로 대통령 리더십이 크게 손상되고, 국정 불신을 초래한 점에 대한 해명이나 사과 없이 애매하고 어정쩡하게 넘어가려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주 원내대표는 "진퇴를 머뭇거리다가 망신당한 사람을 많이 봤다. 모든 공직자는 헌법과 국민에 충성하면서 불의와 불법 방지에 직을 걸어야 한다"며 '한 사람이 제대로 길목을 지키면, 천 사람도 어찌할 수 없다(일부당경 족구천부·一夫當逕 足懼千夫)'는 난중일기 글을 인용했다.

주 원내대표는 원내대책회의 직후 기자들의 관련 질문이 나오자 "정권 말기적 징후"라며 "권력이 무리하게 폭주하니 측근에게서 반란이 일어나는 것"이라고 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22일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은 대통령비서실 신현수 민정수석.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22일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은 대통령비서실 신현수 민정수석. 연합뉴스

이종배 정책위의장은 원내대책회의에서 신 수석의 사의를 '민정수석의 난(亂)'이라고 규정하면서 "청와대는 유야무야 사태를 넘기려고 하지만 문제의 본질이 검찰 '인사 농단'에 있는 만큼 결코 가볍게 볼 사안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성원 원내수석부대표도 "신 수석의 사퇴 파동으로 문재인 정권 레임덕의 민낯이 그대로 드러났다"며 "24일 개최되는 국회 운영위에서 그 실체를 낱낱이 밝히겠다"고 했다.

성일종 의원은 23일 한 라디오방송에서 신 수석의 사의 배경에 대해 "박범계 장관이 (신 수석과 논의 없이) 직접 대통령에게 인사 문제를 재가받았다면 더더욱 큰 문제"라며 "대통령 인사권에 대한 월권이자, 국기문란 문제가 나올 거다. 하극상 문제"라고 지적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