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자노트] 아동친화도시 구미서 아동학대라니…

전병용 경북부 기자
전병용 경북부 기자

'아동친화도시' 경북 구미에서 아동학대 사건이 잇따라 발생해 전국에 충격을 줬다.

설 명절을 이틀 앞둔 지난달 10일 반미라 상태로 원룸에서 발견된 3살 아이. 같은 달 24일 6살 딸을 빌라 4층에서 떨어뜨리고 자신도 뛰어 내린 엄마. 한마디로 끔찍한 사건이었다.

3살 아이는 친모가 지난해 8월 딸을 버리고 6개월이나 방치해 숨졌다. 그리고 엄마는 딸이 사망한 것을 숨기고 구미시로부터 양육수당과 아동수당을 꼬박 챙겼다. 빌라에서 떨어진 6살 아이는 크게 다쳐 병원 치료를 받고 있다.

두 아이 모두 한창 부모로부터 사랑을 받으면서 애교를 부려야할 나이다. 그런데 아동학대가 엄마의 손에 의해 저질러졌다는 것이 너무나 서글프다.

구미 시민들도 아동학대 사건들에 대해 울분을 토했다. 한 시민은 "이런 끔직한 일이 일어나서 불안해 못살겠다"고 했다.

구미시는 아동친화도시로 2019년 우수 지자체로 선정됐고 지난해에는 경북도내 첫 보건복지부 장관상까지 받았다. 구미시는 아동친화도시를 치켜세우기만 했지 위기아동과 아동학대에 대한 사회안전망은 구멍이 뚫린 것이다.

또 수개월 동안 아동학대를 당해 사망한 사실조차 모르고 보조금을 지급했던 것도 분명 행정 시스템의 허점을 드러냈다.

구미시는 지난달 19일 뒤늦게 재발 방지를 위한 '위기아동 발굴·보호 종합대책'을 내놓았다.

위기아동 발굴을 위한 실태조사는 물론 읍·면·동 단위로 아동 학대예방과 근절을 위한 민간협력 네트워크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구미는 아동 수가 8만2천700여 명. 전체 인구 대비 20% 차지해 도내 아동 비율이 가장 높은 도시다.

아동학대는 아이들에게 씻을 수 없는 신체적·정신적 피해를 안겨준다. 구미시가 아동학대를 막지 못하면서 아이를 낳으라고 하는 것도 어불성설이다.

아동학대를 방지하려면 무엇보다 지역차원의 아동학대 예방시스템 구축과 자치단체의 행정 시스템 점검을 서둘러야 한다. 또 아동학대 상황이 발생할 경우 신속한 현장 대응체계도 필요하다.

아동들의 눈높이에서 아동권리가 존중되는 아동친화도시 구미가 되기를 바란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