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행정통합 공론화는 새로운 국면에 진입했다."
2일 대구경북행정통합 기본계획안을 내놓은 대구경북행정통합공론화위원회는 4월 말 기본계획을 확정하기 전까지 시·도민의 여론을 수렴하고 행정통합에 대한 관심을 끌어올려야 하는 두 가지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공론화위는 '대구경북특별광역시(이하 특별광역시)'와 '대구경북특별자치도(이하 특별자치도)' 두 가지 방안이 시·도민들의 관심을 불러 일으키는 핵심 사안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공론화위에 따르면 현재까지 행정통합에 대한 관심도가 떨어지면서 찬반 여론이 팽팽했지만, 특별광역시와 특별자치도를 두고 논쟁이 벌어질수록 시·도민들의 관심이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오는 4일부터 대구와 경북 동부권, 서부권, 북부권에서 열리는 권역별 대토론회에서 두 가지 방안을 두고 치열한 논쟁을 기대하고 있다. 특히 권역별 대토론회는 행정통합에 반대하는 인사들까지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어 행정통합 자체에 대한 밑바닥 여론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특별자치도 안에 대구시를 특례시로 하면서 7개 구를 준자치구로 만드는 방안은 지역 정치권도 쉽게 수긍하기 어려워 뜨거운 논란을 불러일으킬 전망이다. 준자치구의 기초단체장 또는 기초의원 선거가 없어질 수도 있는 탓에 지역 정치권이 논쟁에 직접 뛰어들 공산이 크다.
공론화위는 이 같은 논쟁을 피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이런 논쟁을 계기로 행정통합의 필요성 또는 불필요성을 드러내야 한다는 게 공론화위의 생각이다.
김태일 공론화위 공동위원장은 "지금부터 구체적인 방안을 기초로 다양한 가치와 이해가 표출되면서 뜨거운 토론이 벌어질 것이다"고 했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4월 말 행정통합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5월 행정안전부에 행정통합 건의서 제출 ▷6, 7월쯤 주민투표 발의 ▷7, 8월 주민투표 실시 등을 진행한다. 행정통합 특별법이 올 11월 국회 통과가 이뤄지면 2022년 7월 통합된 대구경북이 출범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