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뉴욕증시, 파월 '인플레' 발언에 급락…나스닥 2.11%↓

나스닥, 올해 상승분 모두 반납하고 하락세 돌아서

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입회장에서 한 트레이더가 장내 포스트에 앉아 업무를 처리하고 있다. 연합뉴스
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입회장에서 한 트레이더가 장내 포스트에 앉아 업무를 처리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인플레 압력이 있다"는 발언이 나오고, 미 국채 금리가 다시 급등하면서 뉴욕 증시 주요 지수가 큰 폭으로 하락했다.

4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45.95포인트(1.11%) 하락한 30,924.14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전장보다 51.25포인트(1.34%) 내린 3,768.47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74.28포인트(2.11%) 급락한 12,723.47에 장을 마감했다.

나스닥은 올해 상승분을 모두 반납하고 연간 기준으로 하락세로 돌아섰다. 또 장중 가격 기준으로 한때 최근 고점 대비 10% 이상 내리며 조정 장세로 떨어지기도 했다.

파월 의장의 발언과 미 국채 금리 동향에 시장은 요동쳤다.

파월 의장은 이날 월스트리트저널과 대담에서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상당 기간 유지할 것이란 견해를 반복했다.

하지만 파월 의장이 "인플레 압력이 있지만 일시적이다. 우리는 인내할 것"이라 말하면서 시장은 이 발언을 Fed가 최근의 인플레이션을 용인하려는 의도로 받아들인 것으로 보인다.

이에 파월 의장의 발언 직후 미 10년물 국채 금리는 순식간에 1.54%대로 치솟았다.

미 경제매체 CNBC는 경제의 재개로 일시적으로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질 수 있다고 말한 점도 투자자들을 불안하게 만들었다고 평가했다.

금리 상승은 특히 팬데믹 이후 크게 오른 기술주에 부담으로 작용했다. 나스닥은 장중 한때 3% 이상 추락했고, 다우지수도 한때 전장 대비 700포인트 이상 밀렸다.

애플 1.6%, 테슬라 4.9%, 페이팔 6.3%씩 하락해 기술주의 약세가 두드러졌다. S&P500의 11개 업종 가운데 2개는 오르고 9개는 내렸다.

이날 업종별로는 기술주가 2.26% 내렸고, 금융주도 1.21% 하락했다. 반면 에너지는 2.47% 올랐다.

파월 의장의 발언은 금값 추락과 달러 가치 상승도 유도했다. 국채 금리 상승 영향으로 국제 금값은 1.3% 하락하며 온스당 1천695달러로 주저앉았다. 금값이 1천600달러대로 내려온 것은 지난해 4월 이후 처음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