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인플레 압력이 있다"는 발언이 나오고, 미 국채 금리가 다시 급등하면서 뉴욕 증시 주요 지수가 큰 폭으로 하락했다.
4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45.95포인트(1.11%) 하락한 30,924.14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전장보다 51.25포인트(1.34%) 내린 3,768.47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74.28포인트(2.11%) 급락한 12,723.47에 장을 마감했다.
나스닥은 올해 상승분을 모두 반납하고 연간 기준으로 하락세로 돌아섰다. 또 장중 가격 기준으로 한때 최근 고점 대비 10% 이상 내리며 조정 장세로 떨어지기도 했다.
파월 의장의 발언과 미 국채 금리 동향에 시장은 요동쳤다.
파월 의장은 이날 월스트리트저널과 대담에서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상당 기간 유지할 것이란 견해를 반복했다.
하지만 파월 의장이 "인플레 압력이 있지만 일시적이다. 우리는 인내할 것"이라 말하면서 시장은 이 발언을 Fed가 최근의 인플레이션을 용인하려는 의도로 받아들인 것으로 보인다.
이에 파월 의장의 발언 직후 미 10년물 국채 금리는 순식간에 1.54%대로 치솟았다.
미 경제매체 CNBC는 경제의 재개로 일시적으로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질 수 있다고 말한 점도 투자자들을 불안하게 만들었다고 평가했다.
금리 상승은 특히 팬데믹 이후 크게 오른 기술주에 부담으로 작용했다. 나스닥은 장중 한때 3% 이상 추락했고, 다우지수도 한때 전장 대비 700포인트 이상 밀렸다.
애플 1.6%, 테슬라 4.9%, 페이팔 6.3%씩 하락해 기술주의 약세가 두드러졌다. S&P500의 11개 업종 가운데 2개는 오르고 9개는 내렸다.
이날 업종별로는 기술주가 2.26% 내렸고, 금융주도 1.21% 하락했다. 반면 에너지는 2.47% 올랐다.
파월 의장의 발언은 금값 추락과 달러 가치 상승도 유도했다. 국채 금리 상승 영향으로 국제 금값은 1.3% 하락하며 온스당 1천695달러로 주저앉았다. 금값이 1천600달러대로 내려온 것은 지난해 4월 이후 처음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