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산코발트광산유족회,민간인 희생자 48명 진실규명조사 신청, 미수습 유해발굴 요구

2기 진실화해위에 신청서 제출, 미수습한 유해 빨리 발굴 수습해 달라 요구

(사)경산코발트광산유족회 나정태 회장(왼쪽 안쪽) 등이 4일 오후 서울 중구의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를 방문해 정근식 위원장(가운데)을 만나 민간인 희생자 유해 수습 등을 건의했다. 유족회 제공
(사)경산코발트광산유족회 나정태 회장(왼쪽 안쪽) 등이 4일 오후 서울 중구의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를 방문해 정근식 위원장(가운데)을 만나 민간인 희생자 유해 수습 등을 건의했다. 유족회 제공

한국전쟁 때인 1950년 7~8월 군경에 의해 경북 경산코발트광산에서 집단 희생된 민간인 48명에 대한 진실규명 조사 신청서가 4일 2기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이하 진실화해위)에 제출됐다.

나정태 (사)경산코발트광산유족회 회장은 "경산코발트광산 민간인 집단 희생자들 가운데 1기 진실화해위 활동 때 여러 사정으로 진실규명 신청서를 제출하지 못했던 48명의 민간인 희생자들에 대한 진실규명 조사 신청서를 진실화해위 사무실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어 나 회장은 정근식 진실화해위원장과 면담을 통해 "진실화해위가 경산코발트광산에서 2007년부터 3년에 걸쳐 총 363구의 유해를 발굴 수습했으나 아직도 폐광산에 남은 유해가 3천여 구, 대구 가창 주변에는 8천여 구가 남아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만큼 하루빨리 유해 발굴 수습 작업이 이뤄져야 한다"고 건의했다.

나 회장은 "이 면담 자리에서 정 위원장은 '아직도 민간인 집단 희생자들에 대한 유해발굴이 되지 않은 것을 진실화해위에서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만큼 해당 광역 자치단체장을 만나 유해수습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거나 위원회 활동이 끝나더라도 특별법을 제정해서라도 끝까지 유해발굴을 할 수 있도록 추진하겠다'는 답변을 들었다"고 말했다.

한편, 진실화해위 1기 활동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경산, 청도, 대구, 영동 등지에서 끌려온 국민보도연맹원 및 요시찰 대상자들과 대구형무소 재소자 중 상당수가 1950년 7~8월 경북 경산시 평산동에 있는 코발트광산 등지에서 군경에 의해 1천800명이 웃도는 민간인이 집단 사살됐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하지만 유족회에서는 3천500여 명이 집단 학살된 것으로 주장하고 있다.

당시 진실화해위는 경산코발트광산 민간인 희생 사건 신청 중 127명(경산 78명, 청도 43명, 충북 영동 6명)의 신원을 확인했으며, 1명은 희생사실 입증 근거를 확인하지 못해 진실규명 불능으로 결정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