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 유력 대선주자로 떠오른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정치적 기반을 두고 아전인수식 해석이 난무하고 있다. 검사 임지, 외가 연고 등 억지 수준의 끼워 맞추기가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최근 야권 일각에선 윤 전 총장이 대구경북(TK), 충청, 강원을 발판삼아 정치권에 연착륙할 수 있다는 기대감에 들떠 있다.
하지만 충청을 제외한 나머지 2개 지역은 윤 전 총장의 정치적 기반이 될 수 있다는 근거가 부족하고 지역주의까지 조장한다는 비판이 나온다.
검사 임지에 불과했던 대구와의 연고를 강조한 'TK 기반설'이 대표적이다.
윤 전 총장은 1994년 초임검사로 대구지검에 부임한 뒤 춘천지검, 서울지검, 부산지검, 광주지검, 의정부지검을 거쳐 2009년 대구지검 특별수사부장으로 돌아왔다.
이어 대검, 서울중앙지검, 수원지검에서 근무했고, 2013년 국정원 여론조작 사건 수사팀장을 맡은 뒤 좌천성 인사를 당해 2014년 대구고검으로 왔다.
검사 시절 지방 임지 가운데 대구가 총 3차례로 가장 많은 것은 사실이지만, 이를 정치적 고향으로 해석하는 것은 무리가 따른다는 지적이다.
한 야권 인사는 "대구는 단순히 윤 전 총장의 근무한 여러 임지 중 하나로 봐야지 정치적으로 TK와의 연고를 강조하는 것은 억지스러운 면이 강하다. 그렇다면 TK에서 근무한 적 있는 공직자는 모두 TK가 정치적 고향이라고 할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윤 전 총장 모친의 고향이 강릉이고, 외삼촌이 이봉모 전 국회의원(강릉·11~12대)이라는 사실을 부각한 '강원 기반설'도 최근 자주 언급되고 있다.
강릉이 지역구인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은 윤 전 총장의 외가에 대해 "강릉에서 대가를 이룬 집안으로 지역 내 신망이 탄탄하다"고 극찬했다.
그러나 파평 윤씨 집성촌이 있는 충청과의 인연이 이미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강원 외가까지 정치적 고리로 활용하는 데 대한 비판도 상당하다.
정치권 관계자는 "이러다 윤 전 총장 사돈의 팔촌까지 등장해 전국이 정치적 고향이 될 판"이라며 "윤석열 대망론으로 인해 과거 윤 전 총장과의 작은 인연이 아전인수격으로 해석되는 일이 잦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