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책]잎갈나무 숲에서 봄이를 만났다

옥련이와 아기 반달가슴곰 봄이의 특별한 우정 이야기

잎갈나무 숲에서 봄이를 만났다/ 박정애 지음·유시연 그림/ 웅진주니어 펴냄

경기도 파주시 통일전망대에서 바라본 북한 철조망과 임진강. 연합뉴스
경기도 파주시 통일전망대에서 바라본 북한 철조망과 임진강. 연합뉴스

"통일이 되면 너를 다시 만날 수 있을까?"

새터민 옥련이가 개마고원에서 오른쪽 귀가 반쯤 잘린 아기 반달가슴곰 봄이를 만나면서 나눈 우정을 담은 이야기다. 옥련이와 봄이는 둘 다 태어난 지 얼마 안 돼 엄마를 잃었다. 같은 아픔을 가지고 있어서인지 옥련산에서 우연히 만난 둘은 벌꿀을 훔쳐 먹고 계곡에서 물고기를 잡으며 금세 마음이 통하는 '동무'가 된다. 그리고 생사를 오가는 순간을 함께 이겨내며 더욱 돈독해진다.

그러나 옥련이는 이제 꿈속에서만 봄이를 만날 수 있다. 둘 사이에는 분단의 장벽이 단단하게 놓여 있기 때문이다. 언제쯤 옥련이는 봄이를 만나 하루 종일 놀고 그다음 날 또 놀 수 있을까. 그날이 과연 오기는 할까. 동물과 인간, 종의 장벽을 뛰어넘은 옥련이와 봄이의 우정 이야기는 어느덧 아득한 단어가 되어 버린 통일, 두 글자의 간절함마저 되새기게 한다.

"옥련이래 아매 말 명심하라. 홍옥련이도 담자리꽃나무처럼 몸속에 얼지 않는 피가 흐른다." 할머니는 한겨울에도 죽지 않는 담자리꽃나무를 보고 옥련이에게 말했어요. 죽지 말라고.
"봄아 죽지 마. 죽더라도 늙어서 죽어야 해. 그거 하나만 약속하자." 이제 곧 개마고원을 떠나야 하는 옥련이도 봄이에게 말했어요. 죽지 말고 다시 만나자고.

이 책에선 옥련이와 봄이의 강인한 생명력을 느낄 수 있다. 봄이를 위해 사냥꾼과 당당히 맞서 싸우고, 그리운 아버지를 만나기 위해 어둡고 깊은 두만강을 건넌 옥련이. 봄이와 할머니를 다시 만날 날을 그리며 묵묵하게 내일을 그리는 옥련이는 우리에게 오늘을 살아가는 힘을 준다. 낯선 세상에서 만날 수 없는 이를 그리며 살아가는 옥련이의 아픔까지 함께 나누다 보면 우리의 세계는 조금 더 강하고 따뜻해져 있을 것 같다.

겨울이 길어 5월까지도 첫눈이 녹지 않는 곳, 옥련이가 9월까지 못 기다리고 덜 익은 뱀딸기와 나무딸기를 따 먹은 곳, 옥련이네 생계가 달린 옥련산 약초 길이 나 있고 할머니가 그 길을 따라 약초를 캐러 가면 옥련이가 봄이랑 여름이랑 소낙비 맞으며 놀던 곳, 옥련이가 얼음 사과를 주워 와 뜨거운 방구들에서 서걱서걱 베어 먹은 곳, 한겨울에도 얼어 죽지 않는 담자리꽃나무가 자라는 개마고원의 풍경이 따뜻하게 가슴에 담긴다. 옥련이와 봄이, 여름이와 함께 가깝고도 먼 북녘의 사계를 만나볼 수 있다. 109쪽. 1만원

잎갈나무 숲에서 봄이를 만났다 표지
잎갈나무 숲에서 봄이를 만났다 표지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